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임자록 / 壬子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광해군 때 유진(柳袗)이 지은 일록류(日錄類)의 산문. 필사본. 지은이는 유성룡(柳成龍)의 셋째 아들이다. 1612년(광해군 4) 임자 정월에 발단된 해서(海西)의 역옥사건인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입고 하회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투옥되

  • 임자소청일기 / 壬子疎廳日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편자미상, 필사본, 1855년(철종 6), 불분권 1책(34장). 1792년(정조 16) 4월에 정언 유성한(柳星漢)의 상소와 관련된 채제공(蔡濟恭) 등의 상소를 모아 등사한 책이다. 유성한의 상소에 대해 영남 유생들이 대거 서울에 올라

  • 임장서원 / 臨漳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에 있었던 서원. 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朱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주자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에 ‘임장(臨漳)’이라 사액되었다. 1801년(순조 1)에 송시열(宋時烈)을 추가 배향하였다.

  • 임적 / 任適 [종교·철학/유학]

    1685(숙종 11)∼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의백 증손, 권상하의 문인이다. 장녕전참봉·장원서별제·양성현감 등을 거쳐, 1725년(영조 1) 함흥판관이 되어 2년간 재직하다가 실정을 탄핵받아 관직을 떠났다. 저서로『노은집』이 있다.

  • 임정주 / 任靖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6∼1796). 1762년(영조 38) 사마시에 합격, 1772년 동몽교관에 제수, 익위사시직을 거쳐, 서연관으로 세손(정조)을 보필하며 학문을 강론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홍국영의 세도정치에 밀려나 미관말직만 역임하였다. 그

  • 임제 / 林悌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수성지」·「화사」, 『임백호집』 등을 저술한 문인. 임제는 어려서부터 지나치게 자유분방해 스승이 없었다. 20세가 넘어서야 성운(成運)에게 배웠다. 1570년(선조 3) 22세 되던 겨울날 충청도를 거쳐 서울로 가는 길에 쓴 시가 성운에게 전해진 것이 계기가

  • 임제원 / 林濟遠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임치, 조부는 임기. 부친 임도헌과 모친 권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71년(영조 47)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3년(정조 7)《국조보감》시독관 재직 시절 임진왜란 때 나라에 공헌한 이순신·고

  • 임종정념결언해 / 臨終正念訣諺解 [언어/언어/문자]

    선도화상(善導和尙)의 『임종정념결』을 한글로 번역한 글. 죽을 때도 정념을 잃지 않고 염불을 하여야 정토(淨土)에 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모두 5장으로 부모가 수도하여 정토에 나도록 권하라는 장로선사(長蘆禪師)의 출세지효(出世之孝)를 설명한 부모효양문(父母孝養文)을

  • 임진부 / 林眞怤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처사. 아버지는 승근, 어머니는 노씨이다. 아버지가 일찍 죽자 어머니로부터 글을 배웠으며, 이상사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612년(광해군 4) 진사가 되었으나 정치가 어지러움을 보고는 다시 과거를 보지 않고 은

  • 임진역영유군인유고 / 壬辰役永柔郡人諭告 [정치·법제]

    1593년(선조 26) 7월. 선조가 임진왜란때 평안도 영유현 사람이 머무르길 바라는 상소에 대해 내린 비답이 새겨진 비석을 탁본한 문서. 문서는 앞부분에는 서의 성격을 띠는 임진왜란의 발발부터 임금의 피란, 환도행자 등의 경위가 실려 있고, 중간부터는 선조의 비답 두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