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유습 / 柳濕 [종교·철학/유학]

    1367(공민왕 16)∼1439(세종 21).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고려 말 시중 탁이다. 음보로 합문인진사가 되었고, 조선건국 후 태조의 꿈에 탁이 나타나 그의 아들에게 관직을 줄 것을 청하였다 하여 과의상장군에 특진되었다. 경기우도도총제, 개천도감제조

  • 유승상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3권 3책. 국문필사본. 가정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창복뿐만 아니라, 그의 동생 창필도 내외간의 금실이 좋지 않아 온갖 파란을 겪은 뒤에 다시 화합하게 된다. 다만 작품의 전반부는 창복을 중심으로, 후반부는 창필을 중심

  • 유승현 / 柳升鉉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숙 증손, 할아버지는 진휘, 아버지는 봉시, 어머니는 신이징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 병조정랑, 사헌부장령, 영해부사, 공조참의, 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유식 / 柳栻 [종교·철학/유학]

    1755년(영조 31)∼1822년(순조 22).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유승원, 생부 유필원과 생모 김이형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유환이 있다. 입재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 진사 2등 18위로 합격하였으나

  • 유신환 / 兪莘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801∼1859). 추천으로 감찰·사직서령·영희전령 등을 지냈다. 전의현감 때 학정의 민폐를 없애고 유학을 진작시켰으나 감찰사의 모함으로 유배되었다. 풀려나서 성리학자로 이기신화론을 주장하는 등 학문수양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 유심춘 / 柳尋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2-1834).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익찬을 거쳐 익위가 되었다. 1830년(순조 30) 왕의 하교로 3대가 과거에 급제한 것을 치하하고 도정에 임명하였고, 1854년(철종 4) 통정대부에 올랐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도 능하였

  • 유씨부인유서 / 柳氏夫人遺書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서령 유씨부인이 지은 유서. 1책. 한글필사본. ‘열(烈)’은 조선조 여성에게는 매우 중요한 덕목 가운데 하나였다. 조선시대 사대부의 생활자료 속에서 남편이 죽으면 따라 죽음으로써 나라로부터 정표(旌表)를 받은 여성들의 행적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 유씨삼대록 / 劉氏三代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분량으로 볼 때 20여권이나 되는 대장편에 속하는 작품으로, 한 가문의 역사를 소설화한 가문소설이다. 이 작품의 주제는 남녀간의 애정문제를 중심으로 이끌어 나가는 유승상의 삼대의 이야기이며, 결혼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유씨전 / 劉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유씨전」은 유씨부인의 열행(烈行)을 널리 알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보상심리로서 재생을 통한 행복한 결말을 그리고 있다. 이를 위해 ‘염라국’이라는 비현실계를 설정하고 있으나, 작품 속에서 ‘염라국’은 오히려 현실적인

  • 유아복 / 幼兒服 [생활/의생활]

    어린아이의 옷. 고종 때의 ≪궁중발기 宮中撥記≫에 의하면 왕자의 삼칠일 의대(衣襨)로는 배자·누비민분홍저고리·누비민옥색저고리·민바지·누비두렁이·백오목이·초록누비천의·끈 등이다. 백일옷은 관·아청복건·양남촉사래·분홍누비두루마기·양남쾌자·초록배자·분홍옥색저고리·누비겹백바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