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유방선 / 柳方善 [종교·철학/유학]

    1388(우왕 14)∼1443(세종 25). 조선 전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후, 아버지는 기, 어머니는 이종덕의 딸이다. 1405년(태종 5) 국자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1409년 아버지가 민무구의 옥사에 관련된 것으로 연좌되어 청주로 유배, 이듬해에

  • 유배가사 / 流配歌辭 [문학/고전시가]

    귀양지를 소재로 하거나 귀양지에서 지은 가사작품. 고려시대나 당파싸움이 치열하였던 조선시대에 있어서 관료생활을 하는 정치인에게는 으레 따르기 마련이었다. 따라서, 귀양살이를 소재로 한 작품 또는 귀양지에서 지은 작품이 많이 나오게 되었는데, 유배가사는 이러한 가사작품을

  • 유백아종자기금삼음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거문고를 매우 잘 탔다는 백아가 자신을 알아주는 참다운 벗이 없음을 슬퍼해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중국의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를 소재로 소설화한 작품이다. 소재가 된 이야기는 부분적으로 『열자(列

  • 유범휴 / 柳範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823). 1780년(정조 4) 생원이 되었고, 1785년(정조 9) 천거로 태릉참봉에 임명되었다. 이후 의금부도사·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반촌문답》·《호곡집》 등이 있다.

  • 유병우 / 柳秉禹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의병(1849∼1910). 1906년 하동에서 순천을 공격하던 중 백낙구 의병장이 체포되자 고향에서 재기를 도모하였다. 풀려난 백낙구와 의병을 일으키던 중 백낙구를 잃고, 의병을 지휘하다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유복 / 儒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유생들이 착용하던 의복. ≪태종실록≫ 11년(1411) 6월조에 의하면, 성균관 및 5부 유생은 조정의 제도에 의해 비로소 청금(靑衿)을 착용하도록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중국 명나라 제도를 따른 것이었다. 홍무(洪武) 24년제를 보면, 생원은 난삼(襴衫)

  • 유복명 / 柳復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5∼1760). 현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성, 어머니는 이만길의 딸이다. 1721년(경종 1) 사헌부지평으로서 연잉군의 세제책봉을 반대하는 조태구·유봉휘 등을 탄핵하였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복직되

  • 유봉휘 / 柳鳳輝 [종교·철학/유학]

    1659(효종 10)∼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속 증손, 할아버지는 성오, 아버지는 상운, 어머니는 이행원의 딸이다. 1697년(숙종 2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부제학·동지의금부사, 우부빈객,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유분전 / 有分廛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서울의 시전 중 국역 부담의 의무를 가지고 있었던 전. 발생시기는 대동법실시의 논의가 일어난 선조 말에서 인조대에 걸친 전후로 추측된다. 국역은 최고 10분(分)에서 최하 1분까지로, 초기에는 입전(立廛)이 10분, 면포전(綿布廛)이 9분, 면주전(綿紬廛)이

  • 유비고 / 有備庫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기 군수물자의 보급을 담당하던 관서. 1397년(태조 6) 중국 송대의 내고(內庫)를 본떠서 설치한 것이다. 태조는 이를 설치하면서 “오직 군수(軍需)에 쓰이는 전(錢)·포(布)·곡(穀)·화(貨)를 관리하게 한다.”고 하여 이 관청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