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불교 32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불교
  • 상원사 / 上院寺 [종교·철학/불교]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에 위치한 사찰. 705년 보천과 효명이라는 두 왕자에 의해서 진여원이란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1376년 중창되었다. 1946년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었으나 1947년 월정사 주지였던 이종욱에 의해 중창되었다. 현재에도 전국 수도승들에게

  • 석가모니 / 釋迦牟尼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개조이름.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다. 석가모니는 석자족 출신의 성자란 뜻이다. 중인도의 가비라의 성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석가의 생몰년대는 여러 이설이 있다. 중국, 한국 등 북방에서는 BCE 627년으로 불탄년을 기려왔다. 그러나

  • 선재동자 / 善財童子 [종교·철학/불교]

    <화엄경> 입법계품에 나오는 구도자의 이름. 불교신앙의 모범이 되는 구도자를 표상한다. 그는 53명의 선지식을 두루찾아 순례하며,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서 10대원을 듣게 되었다. 그 결과로 아미타불 국토에 왕생하였으며, 입법계의 큰 소망을 이루었다고 한다. 우리나

  • 선종 / 禪宗 [종교·철학/불교]

    불교 종파의 하나. 달마대사가 중국에 전한 종지를 이어받아 중국에서 성립한 종파이다. 교외별전을 종의 기본 강령으로 삼고, 좌선을 통해 자기의 마음을 발견하여 삼매의 묘한 경지를 체득하는 것을 종요로 한다. 선의 원류는 인도에 있으나, 중국에 와서 하나의 불교 고유의

  • 선종의식 / 禪宗儀式 [종교·철학/불교]

    불교 선종에서 행하는 의식의 총칭. 선종의식은 의식행위가 따로 없고 생략행위 자체가 의식행위라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보면 선종에서는 의식행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기도형의식은 일상생활과 의식행위를 분리하여 생각하는 데 반하여, 선종의식은 별개의 의식을

  • 설총 / 薛聰 [종교·철학/불교]

    655(태종무열왕 2)∼? 신라 중대의 대학자. 할아버지는 담날, 아버지는 원효, 어머니는 요석공주이다. 육두품 출신인 듯하며, 관직은 한림에 이르렀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주설씨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설총은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함으로써 한문을 국어화

  • 성도재일 / 成道齋日 [종교·철학/불교]

    불교 축일의 하나. 부처의 깨달은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음력 12월 8일로서 불탄절, 열반절, 출가일과 더불어 불교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 날에는 석가의 성도를 기념하는 법회인 성도회가 개최된다. 법회의 의식절차는 부처가 수행을 거쳐 성도하게 되는 과정을 상징적

  • 성불도놀이 / 成佛圖─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부터 내려오는 불가(佛家) 고유의 놀이. 이 놀이는 오락을 통해서 불교의 수행 자체와 교리 체계는 물론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의 여섯 가지 세계인 육도(六道)를 윤회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서 생사가 없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이치를 이해시키고, 염불

  • 소례참례 / 小禮懺禮 [종교·철학/불교]

    불교 의례의 하나.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널리 행해지고 있는 의식이다. 이 의례는 예배의 대상이 특정한 신중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신봉되고 있는 여러 신앙대상들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의례수행 시 법신, 보신, 화신의 삼신불 뿐만 아니라 시방삼세의

  • 속장경 / 續藏經 [종교·철학/불교]

    대장경의 간행시 빠졌던 것을 모아 다시 간행한 대장경. 고려 초기의 고승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주도되었다. 고려 현종때 간행한 초조대장경이 누락한 것을 의천이 거란과 송, 일본 등지로부터 불서와 경전을 구하여 보완 간행하였다. 속장경은 1086년에 완성되었다. 대구 부

페이지 / 3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