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불교 32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불교
  • 발심수행장 / 發心修行章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쓴 저서. 처음 출가하여 수행의 길에 들어선 승려들을 위하여 마련한 안내서이다. 성불을 이루기 위하여 초발심을 일으킨 자가 명심하여야 할 바를 706자의 사언절구로 표현하였다. 세월이 빨리 지나감을 말하고 젊어서 부지런히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배불론 / 排佛論 [종교·철학/불교]

    불교에 대한 비판이론. 중국 동진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불교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대두되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초기에는 비판이 미미했다. 불교가 사회적, 사상적으로 영향력이 있으면서 도교와의 논쟁이 격렬해졌고, 이 과정에서 배불론은 더욱 발전하였다. 우리나는 고려

  • 백교회통 / 百敎會通 [종교·철학/불교]

    1912년 보성사에서 간행한 이능화 저서. 각 종교와 불교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불교에 대한 비방에 대변하고 있다. 제1편에서는 각 종교와 불교를 대조하고, 제2편에서는 불교를 대변하였다.

  • 백초월 / 白初月 [종교·철학/불교]

    1878년(고종 15)∼1944년. 승려 독립운동가. 본명은 인영(寅榮), 아명은 학명(學明), 족보상에는 도수(道洙), 법명은 동조(東照), 이명은 최승(最勝)‧의수(義洙), 호는 초월, 경상남도 진주 출신이다. 상해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천은사(泉隱寺)‧화엄사(華

  • 범망경 / 梵網經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계율을 적은 경전. 구마라습이 한역하였다고 전하나 중국에서 지은 것이라는 설도 있다. 범어 원본은 120권 61품으로 되었으나, 한역본은 그 중에서 심지계품만을 번역한 것이다. <범망경>은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수행자의 계율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일반

  • 범무 / 梵舞 [종교·철학/불교]

    불교의식에서 행해지는 춤. 불교무용을 일컫는 말이다. 불교신앙을 몸짓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범무는 각각 나름대로의 의미를 지닌다. 범무에는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타주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범무는 민간전통예술과 결합하여 승무와 같은 속화된

  • 범일 / 梵日 [종교·철학/불교]

    810-889. 신라의 고승. 831년 김의종과 함께 당나라로 건너갔다. 847년 귀국하여 백달산에서 정진하였다. 이때 명주도독 김공의 청을 받아 굴산사에 가서 40년 정진과 가르침을 행하였다. 범일이 신라의 선문구산 가운데 사굴산파의 개조가 된 것은 이때이다. 80세

  • 범패 / 梵唄 [종교·철학/불교]

    불교의례에서 공연되는 음악. 넓은 의미의 범패는 성악, 기악, 무용 등의 불교음악을 전부 종합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범패를 성악에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다. 범패는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불교 고유의 의례에서 공연된다.

  • 법계연기 / 法界緣起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연기설 가운데 하나. <화엄경>에 근거를 둔다. 진여연기설이 우주의 실상과 현상을 구분하고 무명을 우주만법의 형성인으로 보는데 반하여, 법계연기설은 실상과 현상이 달리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실상은 연기를 일으키는 것이고, 현상은 연기의 작용이 일어난 결과이

  • 법구경 / 法句經 [종교·철학/불교]

    인도의 법구가 편찬한 경전. BCE 4세기에서 3세기경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아함 12부경에서 석가의 가르침을 뽑아내어 만든 경전이다. 무상품에서 길상품까지 26품 500게로 구성되어 있다. 불교의 교리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으며 실제생활과 밀접한 관

페이지 / 3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