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불교 32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불교
  • 사십구재 / 四十九齋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 올리는 재.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 째마다 7회에 걸쳐서 행해진다.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은 중유, 중음이라 부르며, 죽은 뒤에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기간이다. 이 기간동안에 다음 생을 받을 연이 정해지므로, 죽은

  • 사월초파일 / 四月初八日 [종교·철학/불교]

    부처의 탄생일. 음력 4월 8일. 경과 논에는 부처의 생일이 2월 8일, 또는 4월 8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각각 다른 음력 계산법에 의한 기록인 셈이다. 그러나 옛부터 음력 4월 8일을 부처님 나신 날이라고 하여 기념하여 전통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불교의 연

  • 사찰령 / 寺刹令 [종교·철학/불교]

    1911년 일제가 한국불교를 억압하고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제정, 공포한 법령. 한말 승려들은 의병전쟁과 긴밀한 연관관계로 일제는 사찰을 억압하기 위해서 이 법령을 제정공포하였다. '사찰령'은 1911년 6월 3일 공포된 것으로 전문 7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그

  • 사판승 / 事判僧 [종교·철학/불교]

    사찰의 사무나 역임에 종사하는 승려. 이판과 사판의 제도는 억불책으로 승려들이 천인의 대우를 받았던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제도이다. 당시의 승려들에게는 관가나 유생들의 요구에 따라 기름과 종이와 신발을 만드는 등 잡역 종사, 이를 견디지 못하는 사찰은 폐사가 되는 경

  • 삼국유사 / 三國遺事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일연이 고조선에서부터 후삼국까지의 유사(遺事)를 모아 편찬한 역사서. 『삼국유사』는 전체 5권 2책으로 되어 있고, 권과는 별도로 왕력(王歷)·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의해(義解)·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 등 9편목으

  • 삼론종 / 三論宗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한 종파. 인도의 고승인 용수의 <중론>과 <십이문론>, 제바의 <백론> 등 삼론을 주요 경전으로 삼아 성립된 종파이다. 인도 대승불교의 중관계에서 시작되어 중국에서 크게 번성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원효가 삼론의 종요를 지었으며, 백제의 혜현이 삼론을 강

  • 삼성암 / 三聖庵 [종교·철학/불교]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1동 삼각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1872년에 신도 고상진이 창건하여 ‘소란야(小蘭若)’라고 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는 1961년부터 본공, 세민이 중건하고 보수하였는데, 법당인 대웅전을 중심으로 칠성각·독성

  • 삼십본산연합사무소 / 三十本山聯合事務所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삼십본산이 포교와 교육 등 공동의 사업을 위해 조직한 단체. 1911년 조선사찰령이 반포되어 전국의 사찰이 삼십본산으로 구분되고, 각 본산에는 주지가 임명되었다. 1914년말 삼십본산연합제규를 제정, 선교양종삼십본산회의소를 설립, 다시 삼십본산연합사무소로

  • 삼십일본산 / 三十一本山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전국 사찰을 31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본산을 두었던 제도. 일제는 1911년 6월 3일 '조선사찰령'을 공포하고, 같은 해 9월 1일 동시행규칙을 발표하였다. 이 법령은 일제의 식민지 종교정책의 하나로 시행된 것으로, 삼십본산을 정하여 전국의 1,300여

  • 삼존불 / 三尊佛 [종교·철학/불교]

    본존불과 좌우 양편에 모시고 있는 불보살을 함께 일컫는 말. 우리나라의 사찰 전각 안에는 대부분 주불이 좌우부처를 거느린 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모든 본존불과 협시보살과의 관계는 본존불의 권능을 협시보살이 대변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삼존불로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페이지 / 3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