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중군 / 中軍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종2품 무관직. 총리영과 진무영, 각 도의 순영중군은 정3품직이다. 각 영에서 대장 또는 사를 보좌하면서 모든 실무를 총괄하였다. 5군영 중 용호영의 중군은 금위별장을 겸하기도 하였으며, 금군별장과 함께 초관·교련관을 시취하였다. 훈련도감의 중군은 훈련도감의
중동서원 / 中洞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서원. 1691년(숙종 1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알평(李謁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이개(李開)와 이우칭(李禹偁)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868년(고
중봉문집 / 重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 조헌의 문집. 20권 10책. 활자본. 초간본은 조헌이 순절한 지 22년 뒤인 1613년(광해군 5) 동학 의병 동지였던 안방준이 그의 유문과 사적을 수집, 편찬, 이정구의 서문, 강항의 발문, 그리고 자기의 발문을 붙여서 1615년에 발간하였
중성 / 中聲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 창제 때 음절을 분석하여 제시한 음절 구성의 한 요소. 중세국어의 어느 한 음절이 음절초(音節初) 자음, 음절의 중심을 이루는 모음, 그리고 음절말(音節末) 자음과 같은 3요소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음절초 자음을 초성, 가운데의 모음을 중성, 음절말
중성해 / 中聲解 [언어/언어/문자]
중성(中聲)이 음절에 분포하는 위치와 초성·종성과 어울려 음절을 이루는 방법, 중성의 합용 방법 등을 설명한 『훈민정음』 ‘해례’의 두 번째 장. 「중성해」에서는 ‘중성’이 “중국 성운학에서 말하는 ‘자운(字韻)’, 즉 ‘운모(韻母)’의 가운데에 있어서 초성·종성과 합
중세국어 / 中世國語 [언어/언어/문자]
고대국어와 근대국어의 중간 시기에 자리하는 국어. 고려시대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곧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국어로서 통일신라의 언어를 근간으로 하여 발달하였다. 통일신라의 언어가 현재의 동남 방언에 속하는 경주어를 중심으로 한 것이나, 중세국어는 중부 방언에
중시 / 重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당하관 이하의 문무관에게 10년마다 한번씩 보이는 과거. 처음에는 정년(丁年)에 행하던 것을 뒤에 병년(丙年)으로 바꾸어 실시하였다. 응시자격도 처음에는 중앙과 지방의 종3품 중직대부 이하로 되어 있었으나, ≪경국대전≫에는 당하관 이하의 문무신으로 바뀌었다.
중씨희경가 / 中氏喜慶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모두 115구이다. 중씨(仲氏)의 팔순 생일을 맞아 시월 양신(良辰)에 연석을 베풀고 원근의 구고와 사방의 하객들이 모여 연3일 잔치하며 노는 광경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중씨는 구체적으로 누구를 가리킨 것인지 확실히 나타나
중양서원 / 中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중산리에 있었던 서원. 조선시대에 서남은(徐南隱)과 서용은(徐傭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상충사(尙忠祠)·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전사청(奠祀廳)·주소(廚所) 등이 있
중용 / 中庸 [종교·철학/유학]
유교 기본 경전인 사서의 하나. 원래 <예기> 49편 가운데 제31편이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중용의 저자는 자사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북송의 구양수, 소식, 여대림, 청대의 호적, 전목 등은 자사의 저작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중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