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좌종사 / 左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7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종사(右從史) 1인과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
좌찬성 / 左贊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문하시랑찬성사에서 비롯되었다. 1401년(태종 1) 의정부찬성사, 1414년 4월 동판부사, 같은 해 6월 좌참찬·우참찬, 1415년 1월 찬성으로 각각 계
좌참찬 / 左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참찬문하부사에서 비롯되었다. 1414년의 좌참찬은 1433년에 종1품의 찬성으로, 1437년에는 좌·우찬성으로 개칭, 1414년의 우참찬이 얼마 뒤 좌·우참찬으로
좌통례 / 左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하여 관제가 전반적으로 보완, 개정되면서 종래의 통례문이 통례원으로 개칭되고, 통례문의 판통례문사 이하의 직제를 좌통례 이하의 직제로 고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경
주 / 註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글 중간에 2단으로 쓴 주석의 앞에 표시하며 글자 수만큼 숫자를 부기하는 방법.
주계서원 / 周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에 있었던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구봉령(具鳳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33년(인조 11) ‘주계(周溪)’라 사액되었으며, 그 뒤 권춘란(權春蘭)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주교사 / 舟橋司 [정치·법제/법제·행정]
1789년(정조 13)에 설치한 준천사의 산하 관서. 선박·교량 및 호남·호서지방의 조운(漕運) 등에 관한 사무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789년(정조 13)에는 왕명에 따라 이를 전담하는 상설기구로 주교사를 설치했다. 이 때 왕은 친히 ≪주교지남≫을 제정해 그
주교요지 / 主敎要旨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천주교 순교자 정약종이 지은 천주교 교리 해설서. 정주학의 한계성과 그에 관한 고정관념의 세계관을 타파하고 서구의 종교사상을 새로운 의식으로 받아들이려고 하였던 남인신서파의 대표적 저술이다. 국문목판본과 국문활자본이 현존하는데 몇 군데 자구의 수정이
주교지남 / 舟橋指南 [경제·산업]
조선 후기 임금의 행차를 위해 한강에 놓던 배다리의 운영에 대한 방안을 정한 책. 1책. 필사본.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 화산으로 이전한 뒤 그곳에 자주 행차하였다. 이 때 한강을 건너기 위한 종래의 방식인 부교를 운영하는데 따르는 수고와 비용을 줄이기 위
주궁 / 奏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정9품 궁관직. ≪경국대전≫에 주상(奏商)·주각(奏角)과 같은 정9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내명부의 정9품직의 여관명(女官名)이다. 궁(宮)·상(商)·각(角)은 치(徵)·우(羽)와 아울러 각기 다른 오성음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에 따라 내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