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조명교 / 曺命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53). 한영 증손, 할아버지는 전주, 아버지는 하기, 어머니는 한여우의 딸이다. 1721년 검열에 재직중 신임사화로 파직당하였다. 영조 즉위 후 정언이 되어 9개 조항의 시정을 상소하였다. 이후 교리,부수찬,지평,광주부사,대사성,이조참
조명익 / 趙明翼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석형 증손, 할아버지는 경망, 아버지는 정만, 어머니는 이진명의 딸이다. 1725년(영조 1) 세자익위사세마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대사헌, 강화유수를 역임하였다. 강화유수시절 임지에서 죽
조명정 / 趙明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9∼1779). 노론 강경파로 소론과 정쟁을 벌였는데 소론 이광좌를 공격하여 영조의 노여움을 샀으며, 민백상을 두둔하다가 유배되었다. 1754년 경기좌도심휼사로 세금을 줄여줄 것을 상소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조목 / 趙穆 [종교·철학/유학]
1524년(중종 19)∼1606년(선조3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대춘, 어머니는 권수익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2년(명종 7)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를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하였다. 그는 일찍이 이황의 문하생이 된 후 평생 동안 가장
조목수 / 趙沐洙 [종교·철학/유학]
1736년(영조 12)∼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유학자. 시문집으로 문인 유심춘과 아들 조술지가 편찬하고 간행한 10권 5책의《구당선생문집》이 전한다. 문집은 시·가·서·사적·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무요 / 朝霧謠 [문학/고전시가]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작자가 56세 때인 임오년(1642)에 지은 「산중신곡(山中新曲)」 18수 가운데 하나이다.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월출산(月出山)이 놉더니마ᄂᆞᆫ 믜운거시 안개로다
조문명 / 趙文命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상정, 아버지는 인수이다. 어머니는 김만균의 딸이다.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암집≫ 4책이 남아 있다.
조문형 / 趙門衡 [종교·철학/유학]
1617(광해군 9)∼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욱 증손, 아버지는 익생. 김순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윤휴와 교유하였으나 그가 관직에 나가는 것을 반대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 천거를 받아 선공감역에 제수
조민화 / 趙民和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재행, 조부는 조종진이다. 부친 조운기와 모친 임득호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조진화‧조정화이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에서 생원 1등 2위로 합격하였고, 1800년(정조 24) 별시 문과에서 병과
조방직 / 趙邦直 [종교·철학/유학]
1574∼1637. 조선후기의 문신. 세헌 증손, 할아버지는 덕기, 아버지는 응록, 어머니는 조극근의 딸이다. 이해수와 성혼의 문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장령·사간·집의를 거쳐 1633년(인조 11) 좌부승지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뛰어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