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장열왕후 / 莊烈王后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88(숙종 14).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계비. 아버지는 조창원, 어머니는 최철견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남인 허목 등이 복상에 대하여 3년설을 주장하며 서인을 공격하는 소를 올렸다. 이에 송시열 등 서인은 효종이 맏아들이 아니고
장옷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 장옷은 두루마기와 비슷한 형태로 겉감은 초록색, 안감은 자주색을 사용하였다. 길에는 쌍섶과 무가 있고 소매부리에는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옷깃과 옷고름은 자주색이고 깃에는 동정을 달았으며 이중고름을 달았다. 옷감은 명
장용 / 張瑢 [종교·철학/유학]
1650~1726. 장말손의 6대손, 장여화의 손자. 계유(1693)년 생원시 합격, 갑술년 유림소 논의가 있을 때 소수로 추천된 바 있다. 병오(1726)년 향년 칠십칠 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오직 학문을 강토하면서 임천에 유유자적하는 삶을 영위하였다.
장용영 / 壯勇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1793년(정조 17)에 왕권 강화를 위해 설치한 군영. 정조는 1785년에 장용위라는 국왕 호위의 전담부대를 설치하여 무과 출신의 정예 금군을 두어 국왕의 호위를 담당하는 친위체제로 만들었다. 그 뒤 1793년에 그 규모를 더욱 확대시켜 하나의 군영인 장
장용외사별유 / 壯勇外使別諭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8월 6일. 정조가 원침 수목의 가지를 치되 그 시기에 맞게 치라고 당부하는 별유 문서. 《홍재전서》,《정조실록》 등에 실려 있어 발급인과 발행연도를 알 수 있다. 내용에 따르면 이 문서는 장서각 소장 전교(146)와 그 내용이 서로 관련이 있다
장용위 / 壯勇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중앙군의 하나인 충무위에 소속된 병종. 1459년(세조 5) 천인 가운데에서 활쏘기(木箭)·달리기(走)·힘쓰기(力) 등을 시험보아 뽑는 노군(奴軍)의 병종으로 장용대(壯勇隊)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1475년(성종 6) 장용위로 개칭되면서 천인
장원 / 掌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원서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6품이다.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종래의 상림원(上林園)을 장원서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다. 장원서의 수석 관원으로서 궁중의 정원 관리와 과수·화초 등을 재배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또 각 지방에서 궁중
장원서 / 掌苑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원·유·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태봉 때의 식화부(植貨府)가 고려의 내원서(內園署)로 바뀌고, 조선 건국 초에 동산색(東山色)·상림원(上林園)이라고 불렀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장원서로 개정되었다. 관원으로는 조선 전기
장원서등록 / 掌苑暑謄錄 [경제·산업/산업]
1794년(정조 18) 장원서 일반에 관한 구등록(舊謄錄)의 기록에 새로운 사항을 가감하여 엮은 책. 장원서는 궁중의 정원과 꽃·과일 나무를 담당하던 관청인데 이의 위치·관제·각색분정(各色分定)·재정 등을 기록하여 놓았다. 장원서의 관제는 제조(提調)를 우두머리로 6품
장위방 / 張緯邦 [종교·철학/유학]
1697년(숙종 23)∼1753년(영조 29). 조선 후기 유생. 조부는 장연, 아버지는 장옥상이다. 어머니는 이세구의 딸과 예안 김기의 딸인데, 김씨가 생모이다. 1735년(영조 11)에 사마시에 합격, 사헌부감찰, 자인현감 등을 지낸 큰형 와은 장위긍이 은퇴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