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자해필담 / 紫海筆談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김시양이 당시의 정치나 정치인·현인·악인 등에 얽힌 기담(奇談) 등을 수록한 잡록. 불분권 1책. 당시의 정치나 정치인·현인·악인 등에 얽힌 기담(奇談) 및 이사(異事)에 속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 『대동야승』 권7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임진왜란
자헌대부 / 資憲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좌참찬·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있다
자회가 / 自悔歌 [문학/고전시가]
1787년(정조 11)위백규(魏伯珪)가 지은 가사. 필사본. 총 144구.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과 『존재가첩(存齋歌帖)』에 수록되어 있다. 1974년 경인출판사에서 간행한 영인본 『존재전서(存齋全書)』 하권 부록편에도 수록되어 있다. 「자회가」는 제목 그대로 생전
자휼전칙 / 字恤典則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흉년을 당해 걸식하거나 버려진 아이들의 구호 방법을 규정한 법령집. 1책(15장). 활자본. 흉년을 당해 10세 이하의 어린이들이 걸식하거나 버림받아 굶주리므로, 이들이 부모 및 친척 등 의지할 곳을 찾을 때까지 구호하고, 자녀나 심부름꾼이 없는 사람들로 하
작문모범 / 作文模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식(李植)이 자기의 문학관을 피력한 글. 『택당집(澤堂集)』 별집 권14 잡저에 실려 있다. 작문모범」은 고금은 사정이 판이하며, 글이란 풍속이나 사정을 통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대에 맞는 문장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글을 쓰는 데는 당송고
작법귀감 / 作法龜鑑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석 긍선(釋 亘璇) 편, 목판본, 1827년(순조 27), 2권 1책. 구성은 목록, 서, 범례, 권상-하이다. 선승 긍선(亘璇)이 당시 불가의 의례들을 보수한 불교 의례서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
작선 / 雀扇 [정치·법제]
노부 의장 및 정재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작선은 용선, 봉선 등과 함께 노부 의장의 가장 끝부분에 배치되는 의장이다. 국왕에서 세손에 이르기까지 모두 사용하는 의장이지만 국왕이 용선, 봉선, 작선을 모두 사용하는데 비해, 왕비는 봉선과 작선만을, 세자와 세자빈, 세
작치설 / 鵲鴟說 [문학/한문학]
조선 순조 때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글. 작자의 문집 『대산집(臺山集)』 권9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작치(鵲鴟)란 까치와 올빼미인데, 이 두 새의 상이한 성격을 보여주면서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작품 말미에 작가는 “까치는 참으로 신령스러운 새로다.
작헌례 / 酌獻禮 [사회/가족]
왕이나 왕비의 조상이나 문묘에 모신 공자의 신위에 왕이 직접 예로써 제사지내던 제도. 조선시대 왕이 친히 작헌례를 행하는 곳은 영희전과 문묘밖에 없었다. 영희전은 종묘의 남별전을 고친 이름으로 조선의 태조·세조·원종·숙종·영조·순조 등 직계로 이어지지 아니하고 방계로
잔당오대연의 / 殘唐五代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역사소설 『잔당오대사연의전(殘唐五代史演義傳)』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명대 역사소설 『잔당오대사연의전』(60회)을 번역한 책이다. “잔당오대(五代殘唐)” 또는 “잔당오대사연의(殘唐五代史演義)”라고도 한다. 작자는 나관중(羅貫中)이라고 하나 확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