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유암집 / 楡巖集 [종교·철학/유학]
배유장의 시문집. 목활자본, 서:권연하(1883) 발:송석(1888), 3권1책. 권수에 권연하(1813~1896)의 서문, 권미에 송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88제 90수의 시와 6통의 편지를 비롯하여 서 3, 기 2, 발 3, 상량문 2, 제문 9이 실려 있다.
유언호 / 兪彦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명의록》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이
유엄 / 柳儼 [역사/조선시대사]
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장운 증손, 할아버지는 관, 아버지는 정진, 어머니는 박태정의 딸이다. 1723년(경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에 정언이 되었다. 영조가 즉위하자 지평으로 등용되어 정언과 지평을 번갈아 하였다. 1728년(영조
유여림 / 兪汝霖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38(중종 33). 조선 중기의 문신. 집 증손, 할아버지는 해, 아버지는 기창, 어머니는 구안우의 딸이다. 150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검열·봉교, 성균관의 전적·직강을 거쳐 단양과 한산의 군수를 지냈다. 그 뒤 홍문관직제학·
유여매쟁춘 / 柳與梅爭春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은 작자 미상의 산문. 한글필사본. 이 작품은 작자가 봄을 기다리는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결하고 재치 있다. 작자는 이른 봄의 버들과 매화가 봄을 두고 서로 시샘하는 것 같다고 하여, 버들은 양귀비로, 매화는 매비로 의인화함으로써 인정기미를
유연고 / 游燕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홍석모의 시「입책후기소견연성잡시 」·「연경팔경 燕京八景」 등을 수록한 시집. 3책. 필사본. 『유연고』의 내용은 모두 시다. 1826년(순조 26)에 아버지가 정사로 연경에 갔을 때에 보고 들은 풍물을 시로 옮긴 것이다. 『유연고』의 내용은 오언고시 6수
유연전 / 柳淵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항복(李恒福)이 지은 전(傳).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오랜 기간이 지난 뒤에 주위 사람들에 의하여 옥사가 바로 잡혀 누명을 벗는다는 내용의 작품이다. 『백사집(白沙集)』 권16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유연전」은 음모에 따른 사건이 매우 치밀하고 대규모적
유영립 / 柳英立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형, 조부는 유란. 부친 유인무와 모친 광주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 나이준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태학관박사·장흥고주부
유오대산기 / 遊五臺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삼연집 三淵集』 권24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강릉에 가 있을 때 오대산을 돌아보고 쓴 기행문이다. 이 글은 작자가 유명한 학자이면서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처지이므로 자연을 남보다 참되게 엿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유옥 / 柳沃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면 증손, 할아버지는 인흡, 아버지는 문표, 어머니는 현맹인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사헌부장령, 의정부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석헌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