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유서 / 諭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이 지방으로 부임하는 관찰사 등 관원에게 내리는 비밀 문서. 밀부제(密符制)를 실시한 까닭은 관찰사(觀察使)·절도사(節度使)·방어사(防禦使)·유수(留守) 등의 군사권을 가진 관원들이 왕명없이 마음대로 동병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였다.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제봉집(霽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心
유서필지 / 儒胥必知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편자미상, 목판본, 1권 1책(부록, 吏讀彙編 8장 포함, 합 56장). 목민관, 이서, 일반 백성이 다루어야 할 상언(上言) 등 7종의 공문 서식과 여기에 쓰이는 이두(吏讀) 등을 해설한 공문 지침서이다.
유선 / 諭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관직. 왕세손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주재직으로 종래 원자(元子)의 사(師)·부(傅)는 각 1인이었다. 그러나 1797년(정조 21) 원자를 보익하는 자는 많을수록 좋다는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의 건의에 의하여 직제를 신설, 좌우 2인을 두었다. 간
유선사 / 遊仙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87수의 연작시(連作詩)로 작자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허균(許筠)이 공주목사로 재직하던 1608년 4월에 간행한 목판본 『난설헌집』에 실려 있는데, 무려 2,436자에 이르는 선시어(仙詩語)로 묘사한 대작이다
유선쌍학록 / 遊善雙鶴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7권 7책. 국문필사본. 18회로 나뉘어 있는 회장(回章)체 소설로, 가정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반에는 적모가 서자를 모해하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반에는 주로 일부다처생활에서 빚어지는 쟁총담(爭寵譚)으로 구성되
유성룡 / 柳成龍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문신. 자온의 증손, 할아버지는 공작, 아버지는 중영, 어머니는 김광수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영의정까지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1566년 별시문과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부정자를 시작으로 영의정까지 역
유성원 / 柳誠源 [종교·철학/유학]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사근, 어머니는 윤임의 딸이다.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박사, 지평, 직집현전에 임명되었다. 노량진의 민절서원, 홍주의 노운서원, 영월의 창절사 등에 제향
유성춘 / 柳成春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양수 증손, 할아버지는 공준, 아버지는 계린, 어머니는 최보의 딸이다. 대사간 희춘 의 형이다.1513년 사마양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가독서하고, 춘추관의 기사관을 거쳐 이조정랑에 이르렀다.
유성화 / 柳聖和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748년(영조 24). 조선 후기 문신. 유성룡 후손, 조부는 유의하이다. 음직으로 관직에 나아가 1730년(영조 6)에 봉렬대부 행 광흥창봉사와 주부에 임명되었다. 1731년에는 산음현감을 지냈고, 그 후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사후에 호조참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