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와룡선생출사전 / 臥龍先生出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인 제갈량(諸葛亮)의 혼인담을 비롯하여,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로 거사를 도모하기까지의 제갈량의 행적을 소설체로 엮은 글이다. 이 작품은 「삼국지연의」에서 파생된
와사옥안 / 蛙蛇獄案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이두문(吏讀文)으로 된 우화소설이다. 이 작품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에서 유일한 이두소설(吏讀小說)이다. 이 작품은 동물인 개구리와 대망의 재판을 통하여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재판의 모순을 풍자하고 있는 내용으로, 풍
와서 / 瓦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을 조성하는 데 소용되는 기와·벽돌을 공급하는 일을 맡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종6품아문으로 한성부 남부의 용산 동쪽 둔지방(현재 용산구 용산동 4∼6가)에 있었다. 와장이 만들되 역군을 동원하였다. 관원은 겸직의 제조 1인과 전임의 종6품 별제 3인
와유록 / 臥遊錄 [문학/한문학]
고려시대부터 18세기 무렵까지의 산수유기(山水遊記)를 모아 엮은 견문록. 7권 7책. 필사본. 편자·연대는 미상이다.『와유록』은 조선 중기 이후 문인들의 산수유람 욕구가 매우 강해짐에 따라 산수유람의 기록을 모아 유람의 안내서 구실을 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직접 산
완구유집 / 宛丘遺集 [언론·출판]
저자 신대우(1735-1809). 목판본. 10권 2책. 이 책은 일반 문집과는 달리 시는 없고 문만 수록되었다. 따로 서문과 발문이 없고, 권두에 총목이 있다. 2책을 문체별로 분류하여 10권으로 나눈 것도 이례적일 뿐만 아니라, 권1을 잡저로 시작하는 것도 매우 특
완암집 / 浣巖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정내교의 시·기·전·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필사본. 1765년(영조 41) 홍자순(洪子順)이 편집하여 홍봉한(洪鳳漢)의 주선으로 전라감영에서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이의숙(李宜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봉한의 발문이 있다. 권1∼
완월회맹연 / 玩月會盟宴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80권 180책(또는 180권 93책). 국문 궁체 필사본. 이 작품에 나타난 사상은 철저한 유교사상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한결같이 그들 스스로를 유가라 일컫고 있고, 또 그렇게 행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불교를 가리켜
완판본 / 完板本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전주 지방에서 출판된 방각본. 17세기 전라도 태인 지방에서 손기조·전이채·박치유 등 아전 출신 인사들이 간행한 책이 방각본의 원류. 18세기에 그 주류가 전주 지방으로 옮겨 전주의 방각본을 형성. 담당층이 서리 중인층으로부터 서민 출신의 상공층으로 바뀌어
왕경룡전 / 王慶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본. 이본으로 「왕어사경룡전(王御史慶龍傳)」·「청류지열녀(靑樓之烈女)」 등이 있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기생과의 애정관계를 다룬 작품이다. 작품의 시대배경이 명(明)나라 가정연간(嘉靖年間)으로 되어 있고, 중국 소설과의 연관성으로 보
왕복 / 王服 [생활/의생활]
왕의 정복(正服). 왕복의 종류가 뚜렷이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것을 보면, 조근·봉사지복(朝覲奉祀之服)이라 하여 종묘·사직 등에 참예(參詣), 제사하고 정조(正朝)·동지·조회(朝會)·수책(受冊)·납비(納妃) 등에 착용하던 면복(冕服)이 있다. 수배신조현지복(受陪臣朝見之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