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교배석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에서 교배례를 행하였던 자리. 가례에서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교배례를 행하기 위해 깔았던 자리이다. 보통 한 장의 장석(長席)으로 준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교서속백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 시 교서(敎書)와 속백(束帛)을 놓았던 상. 주로 왕세자가 왕세자빈을 맞이하는 납빈의(納嬪儀)와 같은 왕실 가례에서 임금이 내린 교서(敎書)와 속백(束帛)을 놓았다. 교서는 함(函)에 담아 안(案) 위에 올려 놓았으며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으로 구성된 속백 또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교서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 시 교서(敎書)를 놓았던 상. 왕비, 왕세자 등을 정하는 책봉례나 왕실가례에서 임금이 내린 교서(敎書)를 놓았다. 교서는 함(函)에 담아 안(案) 위에 올려 놓아두면 의례 시 집사가 교서안을 들고 나아가 예를 행하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교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교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실 의례 시 휴대와 이동이 편하게 고안된 접의식 의자. 궁중 의례가 있을 때나 사신과 관련한 접대가 있을 때 사용했다. 교의의 원류는 중국의 호상(胡床)으로 중국에 기원을 두었다. 왕과 왕비가 쓰던 것은 용교의(龍交椅), 세자가 사용하던 것은 평교의(平交椅)라 하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구봉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봉황을 그린 일산(日傘). 자루가 긴 큰 양산으로 보통 한 쌍으로 사용한다. 황제(黃帝)는 황색으로, 왕ㆍ황태자는 붉은색, 왕세자는 검은빛의 비단으로 만들었다. 비단 위에는 보통 두 마리의 봉황, 구름, 꽃을 금색으로 그리며 크기는 1척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구봉곡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봉황을 그리고 자루가 구부러진 일산(日傘). 아홉 마리의 봉황을 그린 일산(日傘)으로 자루가 구부러진 형태이며 보통 한 쌍으로 사용한다. 비단 위에는 아홉 마리의 봉황 사이에 구름, 꽃 등을 금색으로 그린다. 일산의 규모는 높이가 2척, 지름이 5척 2촌이다. 구부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구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출상(出喪)하기 위하여 관(棺)을 집 밖으로 모실 때 관 위에 덮는 홑이불 같은 베. 수보관의라고도 한다. 관의는 피륙으로 관에 맞추어 입히는 것으로 도끼 모양을 그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구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임금이 공신에게 하사하였던 비둘기 장식의 지팡이. 임금이 70세 이상의 대신이 벼슬에서 물러날 때 하사하였다. 비둘기가 음식을 먹을 때 잘 체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체하지 말고 건강하라는 의미로 손잡이 꼭대기를 비둘기 모양으로 장식한 구장을 주었다고 한다. 구장의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구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임금이 말로 내린 전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