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1,71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견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장례 행렬에서 좁은 길을 지날 때 잠시 쓰는 간단한 가마. 대방상(大方狀)을 쓰는 행상(行喪)에서만 동원되었다. 대방상은 삼공(三公: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과 구경(九卿: 좌참찬, 우참찬, 6조의 판서, 한성판윤)이 죽었을 때 사용한다. 두 사람이 앞뒤에서 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견여소방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견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례(喪禮)에서 발인에 앞서 망자에게 지내는 전의(奠儀). 견전은 망자의 시신을 빈소에서 묘소로 옮길 때 거행하는 송별 의식이다.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는 관을 상여에 실은 후 전을 거행하지만 국장에서는 견전의 의식을 거행하고 재궁을 상여에 옮긴다. 국조오례의國朝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결승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끈을 매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겹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겹으로 만든 치마. 겹군(裌裙). 조선전기 왕비ㆍ왕세자빈의 법복(法服)인 적의(翟衣) 차림을 구성하는 복식 품목의 하나로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仁祖壯烈后嘉禮都監儀軌에 보면 적의는 대삼ㆍ배자ㆍ단삼ㆍ말ㆍ군ㆍ하피ㆍ옥대ㆍ패옥ㆍ대대ㆍ규ㆍ적말ㆍ적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겹대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예복 포(袍). 조선 전기 왕비ㆍ왕세자빈의 법복(法服)인 적의(翟衣) 차림을 구성하는 복식 품목의 하나이다.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仁祖壯烈后嘉禮都監儀軌에 보면 적의는 대삼ㆍ배자ㆍ단삼ㆍ말ㆍ군ㆍ하피ㆍ옥대ㆍ패옥ㆍ대대ㆍ규ㆍ적말ㆍ적석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대삼의 재료가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석(磬石)을 깎아 만든 타악기(打樂器)인 편경(編磬)과 특경(特磬)의 약칭. 보통 편경을 가리킨다. 편경은 음정이 다른 16개의 돌(磬石)을 깎아 8개씩 2층의 틀[거리]에 매단 악기이고, 특경은 얇게 깎은 돌을 하나 매달아 채로 친다. 원래는 중국 악기였지만 고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경광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진상용 책의 표지나 의복에 사용되는 직물. 경광주는 평직으로 제직한 견직물의 하나이다. 영ㆍ정조 때부터 보이기 시작하며, 특히 초록 경광주(草綠輕光紬)는 어람용 의궤의 장황용, 옥책문의 장책용, 어간의 휘장용으로 사용되었다. 분홍ㆍ남경광주는 중치막ㆍ창의ㆍ도포ㆍ사규삼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경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혼(國婚) 때 왕비ㆍ왕세자빈이 법복(法服)인 적의(翟衣)를 입고 면사포처럼 머리 위로 덮어썼던 쓰개. 궁중혼례에서 왕비가 본댁(本宅)이나 별궁(別宮)에서 친영례(親迎禮)를 마치고, 동뢰연(同牢宴)을 치르기 위하여 왕을 따라 대궐로 행차하기 위해 연(輦)을 탈 때 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경집충의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정(銘旌)을 받들고 가는 충의위. 명정(銘旌)은 죽은 사람의 관직과 품계, 본관, 성씨 등을 적은 기(旗)를 말하는데, 보통 붉은 바탕에 분가루나 은물 등 희색으로 글씨를 쓰며, 상여 앞에서 길을 인도한 후 관 위에 씌워 묻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페이지 / 17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