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존경각 / 尊經閣 [교육/교육]

    1475년(성종 6) 성균관 안에 건립된 도서관 건물. 기본 장서는 사서·오경·제사와 성리학 중심의 유가 도서이고, 불교는 물론 노장 및 기타 잡류 그리고 농학 등 기술계 도서는 금지되었다. 도서의 수집 방법은 주로 ≪경국대전≫에 정해진 반서제도에 따라 교서관 등에서

  • 존재가첩 / 存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학자 위백규와 위세보의 시조 「농가」와 가사 「자회가」·「금당별곡」 등을 수록한 가집.첩·가곡류. 위백규의 「농가」 9장은 농부화의 추세 속에 놓인 향촌사족층인 서생(書生)이 자영농(自營農)의 자리로 이전해가는 단계를 전형적으로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되며, 위백

  • 존재사 / 存在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하나. 동사·형용사와 함께 활용을 하는 용언으로서, ‘존재’나 ‘소유’의 뜻을 나타내는 ‘있다, 없다, 계시다’가 이에 속한다. 존재사는 ‘사물의 존재여부를 표시’한다는 의미적 범주로도 독자성을 가지지만, 특히 그를 동사나 형용사와 따로 나누어 세우는 근거는 활

  • 졸고천백 / 拙藁千百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최해의 서(序)·기·후제·행장 등을 수록한 문집. 『졸고천백』에는 45편의 산문이 시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서(序) 6편, 기(記) 4편, 후제(後題) 2편, 발 1편, 묘지 3편, 묘지명 4편, 문책(問策) 1편, 권2는 서 5편, 묘지 9편,

  • 졸곡 / 卒哭 [종교·철학/유학]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되는 초정일이나 해일에 지내는 제사. 졸곡은 무시곡을 마친다는 뜻으로 대개 삼우를 지낸 후 초정일이나 해일에 행한다. 졸곡의 절차는 우제의 절차와 같으나 초헌과 사신의 경우에는 우제와 차이가 있는데, 축이 주인의 왼쪽에 동향하여 선다. 졸곡 후에

  • 졸수재집 / 拙守齋集 [언론·출판]

    조성기(1638-1689), 목판본. 12권 6책. 선장본. 책의 구성은 12권 6책 이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맨 앞에 총목이 있으며, 1책은 권별로 각 권의 앞에 목록이 있고, 2~6책은 책 별로 각 책의 맨 앞에 두권씩의 목록이 함께 실려 있다. 권1~11이 본

  • 졸와집 / 拙窩集 [종교·철학/유학]

    정광묵의 문집. 석인본, 서: 권상규(1944), 발: 김철희, 정승모(1959), 정진한(1959), 2권 1책. 권1에는 시가 17제 25수, 소 1편, 서 6편, 잡저에 사단칠정설 1편, 책문에 문독서 1편이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만사 15인, 제문 18인,

  • 졸재집 / 拙齋集 [종교·철학/유학]

    채소권의 문집. 석판본, 발: 채석진(1938)‧채묵진(1938), 2권 1책. 권1은 부 4편, 시 139제 211수가 있고, 권2는 시 21제 23수, 만 11제 12수, 사 2편, 계 3편, 소 3편, 제문 1편, 서 1편, 잠 2편, 명 3편, 갈명 4편, 묘지

  • 좁쌀 한 알로 장가든 총각 [문학/구비문학]

    과거를 보러 가는 젊은이가 좁쌀 한 알로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을 하여 성공한다는 내용의 설화. 형식담(形式譚)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누적적형식담(累積的形式譚)에 속한다. 즉, 한 행위가 원인이 되어 다음 행위가 생기는 결과가 계속되어, 끝 결과는 가장 큰 기대를 실현

  • 종각 / 鐘閣 [예술·체육/영화]

    1940년대 일제하의 암담한 상황을 배경으로 두 남녀의 사랑의 비극을 그린 영화. 원작 강노향, 각색 강청남, 감독 양주남, 촬영 유장산, 음악 김대현. 소개업자의 꾀임으로 광산촌 위안부로 팔려간 영실은 이곳에서 강제징용되어온 청년을 사랑하게 된다. 그들은 참담한 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