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조택원 / 趙澤元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한국민속무용단 단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친일반민족행위자. 1907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대한제국 군관학교 제1기 출신으로 참령(參領)의 지위에 올라 있던 종완(鐘玩)이며, 어머니는 김금오(金琴梧)이다. 7세 때 홍원보통

  • 조포사 / 造泡寺 [예술·체육/건축]

    사찰. 조포사(造泡寺)는 능(陵)이나 원(園)에 딸려서 제향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드는 사찰이다. 헌릉(獻陵)의 조포사는 용인의 봉서사(鳳棲寺)이다. 예전에는 봉헌사(奉獻寺)를 조포사로 삼았으나, 사찰이 무너지고 승려가 흩어진 탓에 봉서사를 조포사로 삼게 되었다. 광교

  • 조학경 / 趙學經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시대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업에 몰두한 문인이다. 검간 정의 5세손이며 조언기 아들이다. 어려서 밀암 이재 문하에서 배웠다. 깨달은 바가 있어 과거에 뜻을 접고 오로지 학문에 매진했다.《심경》‧《근사록》‧《주자서》에 공을 들였으며 문장이 날로 발전했

  • 조학래 / 趙學來 [종교·철학/유학]

    1899년(고종 36)∼1964년. 조선 말기의 문인이다. 고조부는 조성헌, 증조부는 조방규, 조부는 조용진, 부는 조창제이다. 7, 8세에 부형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 근면하고 나태하지 않아 문의를 쉽게 깨우쳤다. 이후 집안의 여러 어른들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육

  • 조한규 / 趙翰逵 [종교·철학/유학]

    1740∼181? (영조15∼순조?) 아버지 조영근과 어머니 청주 한씨사이에서 2남 1녀의 셋째로 태어났다. 각정산아래에서 성장하여 평생을 보냈으므로 호를 각정이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증조할아버지가 문충공 조태억이다. 16세 때에 형과 함께 미상에서 최수인․ 수원

  • 조함세 / 趙咸世 [종교·철학/유학]

    1607년(선조 40)∼1690년(숙종 16).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 조형도의 5남 중 막내, 형으로 조함영‧조함희, 조함장‧조함철이 있다. 장현광의 문하에서 수학, 1652년(효종 3) 증광시 생원 3등 8위로 합격, 호조판서를 역임했던 김세렴의 천거로 참봉에 올

  • 조해 / 趙楷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봉원, 어머니는 정시혁의 딸이다. 서인이다. 1681년(숙종 7) 천거로 공릉참봉, 경안도찰방, 예빈시직장, 의금부도사, 순창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 조헌 / 趙憲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유학자·의병장. 황 증손, 할아버지는 세우, 아버지는 응지이다. 어머니는 차순달의 딸이다. 이이·성혼의 문인이다.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공조좌랑, 보은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604년 선

  • 조현례 / 朝見禮 [정치·법제]

    왕비 또는 왕세자빈이 혼례를 마친후 처음으로 부왕, 모비 등 왕실의 어른을 뵙는 의식. 국혼은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절차인 동뢰연를 마친 후 조현례를 거행하였다. 헌종 계비인 효정왕후 홍씨의 가례를 보면 동뢰연을 마친

  • 조현명 / 趙顯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0∼1752).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뒤 분무공신 3등에 책록되고, 풍원군에 봉해졌으며, 이후 도승지·경상도관찰사·공조참판·부제학, 이조·병조·호조판서 등의 요직을 거쳐 우의정·좌의정·영의정에 이르렀다. 영조의 탕평책을 지지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