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유적 1,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 대구대봉동지석묘 / 大邱大鳳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대봉동고인돌은 대체로 남북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고인돌의 장축도 모두 남북으로 되어 있다. 굄돌〔支石〕의 유무에 의해 유지석식(有支石式)과 무지석식(無支石式)으로 구분된다. 대봉동고인돌은 최초의

  • 대구만촌동유적 / 大邱晩村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동구 만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과 초기철기시대의 유적. 세형동검(細形銅劍)·동과(銅戈) 등이 일괄 출토되었다. 대구시 동구 만촌동에서 금호강안의 동촌유원지 주변 주차장 정지작업중에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된 유적으로, 금호강변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데

  • 대구비산동청동기일괄 / 大邱飛山洞靑銅器一括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비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기와 철기시대 초기의 분묘 유적. 1956년 이 지역의 와룡산 기슭에서 주민이 우연히 발견한 것으로 직경 5-6m 쯤 되는 범위 안에서 각종 청동기와 철기가 발견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세형동검(細形銅劍) 5점, 동투겁창(銅矛)

  • 대구산격동유적 / 大邱山格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연암산(燕巖山)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문화 유적. 1962년 처음 발견되었고 그 뒤 여러 번 지표조사가 있었으나 유구는 찾지 못하였고 많은 석기와 토기조각이 발견되었을 뿐이다.석기는 돌검·화살촉·돌칼·대팻날·끌·도끼·자귀·숫돌·칼자루끝장식

  • 대구월성동주거지 / 大邱月城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유적은 대구 분지의 남쪽에 솟은 대덕산(大德山)에서 대략 서쪽으로 낙동강을 향해 뻗은 산괴가 끝나는 부위에 소재한 한 구릉의 서남 기슭에 있다. 유적의 남서쪽 선상지(扇狀地)에는 고인돌 떼가 분포하고 있다. 1

  • 대구이천동지석묘군 / 大邱梨泉洞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옛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 1936년 일제 당시의 조사자에 의해 5개의 구(區)로 나뉘어 명명되었다. 각 구는 대략 3개씩의 지석묘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이 중 1936년에 이미 조사된 이천동 제4구 Ⅰ·Ⅲ지석묘

  • 대구진천동입석 / 大邱辰泉洞立石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선돌[立石]. 선돌의 재질은 화강암이고 크기는 길이 150㎝, 너비 110㎝, 높이 210㎝이다. 선돌 하부에 축조된 기단은 평면형태가 긴네모모양[長方形]이며 전체적인 규모는 길이 20∼25m, 너비 10∼12.5m 정도이다.

  • 대구칠성동지석묘 / 大邱七星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고인돌은 제3호 고인돌을 중심으로 6기가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고인돌들에는 후대인 1795년(정조 19)에서 1797년 사이에 경상감사로 재임중이던 이태영(李泰永)이 꿈속에서 북두칠성이 고인돌 자리에 떨어진

  • 대구평리동유적 / 大邱坪里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의 유적. 1974년 8월 하순 아파트를 세우기 위해 기초를 파던 중 우연히 청동기와 철기유물이 발견되어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매장문화재로 신고되었다. 발견한 인부들의 말에 의하면 판석(板石)이나 목재흔적 같은 것은 없었다고 한다

  • 대구향교 / 大邱鄕校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교동(校洞)에 창건되었다. 당시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이 있었으며, 1400년에 불타자 곧 재건하였고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되어 1599년(선조 32)

페이지 / 1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