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우저서원 / 牛渚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에 있는 서원. 1648년(인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선조 초기에 통진현감(通津縣監)으로 있으면서 유생을 훈도한 조헌(趙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경 김포유생이 청액소(請額疏)를 올려 사액을 청하였지

  • 우종사 / 右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였다. 사

  • 우찬성 / 右贊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 1401년(태종 1) 의정부에 흡수하면서 의정부찬성사로 되었다. 1414년 4월 육조직계제 실시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동판부사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동판부

  • 우참찬 / 右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4월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 1401년(태종 1) 의정부에 흡수하면서 의정부찬성사로 되었다. 1414년 4월 육조직계제 실시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동판부사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동판부

  • 우초신지 / 虞初新志 [언론·출판]

    장윤(청)편, 목판본. 20권 10책. 작품의 선정, 취합에는 편자 당대 인물들의 문집 및 잡록 단행본, 문장 선집류, 저자로부터 직접 받은 원고 등으로 이루어졌고, 이러한 출전을 목차의 작품명 아래에 부기하고 있다. <우초신지>는 여러 차례 간행되면서 "거의 집집마다

  • 우탁 / 禹倬 [종교·철학/유학]

    1262(원종 3)∼1342(충혜왕 복위 3). 고려 말기의 문신·학자. 우현의 7대손, 우천규의 아들이다. 향공진사, 영해사록, 감찰규정, 성균좨주 등을 역임하였다.경사에 통달했고,『고려사』열전에 ‘역학에 더욱 조예가 깊어 복서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기록될 만큼

  • 우통례 / 右通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례원의 정3품 당하관직. 통례원의 차관으로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의 편찬과 관련된 관제의 전반적인 보완·개정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이 개국된 이래로 운영된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개칭하고, 통례문 때의 겸판통례문사를 녹관의 우통

  • 우향계안 / 友鄕契案 [사회/촌락]

    경상북도 안동에서 조직된 우향계의 변천과정을 기록한 책자. 우향계는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태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30)의 아들 이증(李增)이 안동에 낙향하여 당시 안동의 나이 많고 덕이 높은 인물 12명(안동권씨 3명, 흥해배씨 4명, 영

  • 우헌집 / 愚軒集 [종교·철학/유학]

    채헌징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로(1806), 발: 김소락(1865), 7권 3책. 입재 정종로가 1806년(순조 6)에 쓴 서문과 의성김씨 김소락이 1865년(고종 2)에 쓴 발문이 있다. 권말에 실려 있는 우헌의 8세손 성환이 쓴 발문에는 간행 연도를 무진년이라고

  • 우화소설 / 寓話小說 [문학/고전산문]

    우화의 수법을 구사한 소설. 흔히는 전승우화 특히 동물우화를 모태로 하여 발전한 소설을 이르지만, 우화의 개념을 보다 넓게 잡으면 우화소설의 개념이나 범위도 확대될 수 있다. 우화소설은 이와 같은 우화의 전통으로부터 인물·사건의 전형성, 풍자성, 윤리적 목적의식을 물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