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우사어 / 右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좌사어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좌사어와 좌우로 나누

  • 우산서원 / 愚山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었던 서원. 1796년(정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경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정종로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철

  • 우상전 / 虞裳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영조 때에 역관인 우상(虞裳)이상조(李湘藻, 일명 李彦瑱 이언진)가 죽자 그의 행적과 남긴 시를 모아 엮은 열전체(列傳體)의 변체(變體)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그러나 끝부분이

  • 우석일 / 禹錫一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여무, 어머니는 김하의 딸이다. 할아버지 형에게『소학』등을 배운 후 17세되던 해에 정온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649년(인조 27) 음공으로 장사랑에 오르고, 영조 때 학림서원에 봉안되었으

  • 우성전 / 禹性傳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환 증손, 할아버지는 성윤, 아버지는 언겸, 허엽의 사위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68년(선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수원현감,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계갑록』·『역설』·『이기

  • 우수영 / 右水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에 설치한 수군의 주진. 조선시대에는 왜구와 접촉이 극심한 전라도와 경상도에 한하여 수군절도사가 상주하는 주진을 각각 두 곳에 설치. 한성에서 보아 각 도의 서편, 즉 우편을 전담하는 주진을 우수영, 동편 즉 좌편을 전담하는 주진을 좌수영이라

  • 우승 / 右丞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의 종3품 관직. 태조 개국시 정원은 1인으로 설치되었으나, 태종 초에 삼사가 사평부로 개편되고 이어 사평부가 호조에 병합되는 과정에서 혁파되었다.

  • 우시직 / 右侍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8품 관직. 좌시직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종하면서 사만 2년 후 참상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재임연한에 따른 승급기간이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부수가 되고 다시 1년을 보내면 6품으로 승품하여

  • 우암집 / 尤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의 문집. 1717년(숙종 43) 민진후 건의에 의하여 왕명으로 운관에서 철활자로 간행되었다. 본집 158권 및 별집 9권, 후에『경례문답』24권이 간행, 1732년(영조 8)에 연보 5권이 간행되었다. 송나라 장식의 문집 편차를 따랐다.

  • 우어청 / 偶語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역원에 소속된 통역원 양성을 담당한 관서. 한학·몽학·청학·왜학의 4개 과정이 설치되어 있었다. 정원은 중국어 87인, 여진어 68인, 몽고어 45인, 일본어 50인이었다. 이들은 각기 해당분야의 훈상당상들로부터 교육을 받고 정기적인 구술시험을 보았다. 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