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용진서원 / 龍津書院 [교육/교육]
함경남도 문천군 북성면(현재의 강원도 문천시) 신안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6년 ‘용진(龍津)’이라고 사액됨과 동시에 민정중(閔鼎重)을 추가배향하였다. 그
용천담적기 / 龍泉談寂記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김안로가 35가지의 이야기를 수록한 야담집. 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있다.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있다. 『용천담적기』는 김안로
용천서원 / 龍泉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장기리에 있는 서원. 서원은 16세기에 건립된 원천정(原泉亭)에서 출발하였다. 원천정은 1587년(선조 20)에 전팔고(全八顧, 1540∼1612)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경상도 거창에 세운 강학 공간이다. 임진왜란 때는 전팔고가 거창의 의병을
용천향교 / 龍川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용천군(현재의 염주군) 내중면 연곡동에 있는 향교. 1600년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문묘(文廟)·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 등
용추유영가 / 龍湫游詠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저자가 살던 방장산(方丈山) 아래 용추동(龍湫洞)일대의 뛰어난 경관을 읊은 작품이다. 조선시대의 가사 중에는 서경류의 작품이 많으나 지리산을 소재로 지은 것은 「용추유영가」가 초기작품에 속한다. 전 120구에 9단으로 이루어져 있
용호서원 / 龍湖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서원. 1704년(숙종 30)에 세덕사(世德祠)로 건립되었다가 1707년(숙종 33)에 용호서원(龍湖書院)으로 승격되어 성주도씨 도성유(都聖兪, 1571∼1649), 도여유(都汝兪, 1574∼1640), 도신수(都愼修, 1598∼
용호영 / 龍虎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국왕을 직접 호위하던 친위군영. 국왕의 친위군인 금군은 효종 때 왕권강화로 군직을 내삼청으로 통합해 일원화하고 군영으로 발족하였다. 1666년(현종 7)에 내삼청을 금군청으로 개칭하였다. 동시에 700명으로, 7번으로 나누어 영솔하게 하였다. 좌우별장도 단별
우 / 右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그 오른쪽에 쓴 것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우곡서원 / 愚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서원. 1818년(순조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오국화(吳國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0
우국가첩 / 憂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전기의 무인 이덕일이 지은 가곡 첩. 조선전기의 학자 철실(漆室) 이덕일(李德一, 1561~1622)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 『칠실유고(漆室遺稿)』에 수록되어 전해지는 28작품의 가곡 첩(帖)이다. 임상덕(林象德)의 「우국가후서(憂國歌後叙)」와 나이장(羅以樟)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