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영인 / 令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4품 작호. 문무관 4품의 관계에 오른 적처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본래 영인은 송나라 휘종(徽宗) 때에 군군(郡君)을 4등급하여 숙인(淑人)·석인(碩人)·영인(令人)·공인(恭人)이라 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영일향교 / 迎日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효자동에 위치하고 있는 향교. 1507년(중종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영일군 고읍리에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숙종 때 대송면 지자동에 중건하였으며, 1867년(고종 4)에 현감 원우
영자기 / 令字旗 [정치·법제]
국왕의 대가 의장, 법가의장, 소가 의장, 왕세자 의장에 쓰이는 깃발. 청색 또는 홍색 바탕에 상변이 뾰족하고 가운데 에 영자를 쓴다. <세종실록> 오례에는 청색 바탕으로, <국조오례의>에는 붉은 바탕, <춘관통고>에는 청색 바탕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각이나 화염각은
영작서 / 營作署 [정치·법제/법제·행정]
토관의 종6품직아문. 직임은 영조(營造)·유시·탄거(炭炬)·혁유·포진(鋪陳) 등 사(事)를 관장한다. 종래의 영작원(營作院)·영선사(營繕司) 등이 개편된 것이다.
영접도감 / 迎接都監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중국에서 오는 칙사를 영접하기 위하여 설치된 임시관서. 영접사무를 총괄하는 도청과 응판색(應辦色)·반선색(盤膳色)·군색(軍色)·연향색(宴享色)·미면색(米麵色)·잡물색(雜物色) 등으로 조직되었다. 도청에는 판서급의 원접사(遠接使)·관반(館伴)·제조(提調) 등의
영정법 / 永定法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에 시행된 전세 징수법. 1635년(인조 13)에 제정되었다. 영정법은 이러한 관례를 법제화하고 세수를 늘리기 위해 그 해의 풍흉에 관계없이 농지의 비옥도에 따라 9등급의 새로운 수세액을 정한 것이다. 그것이 1760년(영조 36)에 제정, 시행된 비총법(比
영조 / 英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제21대 왕(1694∼1776). 재위 1724∼1776년. 1725년 압슬형을 폐지하고, 아울러 사형을 받지 않고 죽은 자에 대한 추형을 금지시켰다. 1750년 균역법을 시행하여 양역의 불균형을 바로잡았다. 1770년 최초의 백과사전《동국문헌비고》를 진찬하게
영조가상존호망단 / 英祖加上尊號望單 [정치·법제]
재위중인 영조에게 존호를 가상하기 위해 1752년(영조 28) 2월 29일 빈청에서 영조의 윤허를 바라며 의정해 올린 가상존호 망단. 의정한 존호는 '장의홍윤광인돈희(章義弘倫光仁敦禧)'의 여덟 글자이며, 이 여덟 글자를 단망의 형태로 써 올려서 영조의 재가를 받았다.
영조대왕의도포 / 英祖大王의道袍 [생활/의생활]
조선 후기 영조가 입던 도포. 중요민속자료 제220호. 이 도포는 1979년 파계사 원통전(圓通殿)의 관세음보살상을 개금하다가 발견한 것이다. 도포와 함께 발견된 한지 두루마리에 적힌 발원문에 의하면 1740년(영조 16) 경신(庚申) 12월에 대법당을 개금하고 불상과
영조사 / 營造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조에 소속된 관서. 궁실과 성지, 관공서의 청사와 가옥·토목공사·피혁·모포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공조의 속사로 궁실·성지·공해 등의 토목공사나 공역·피혁·전계 등에 관한 일을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