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약천집 / 藥泉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남구만의 시문집. 34권 17책. 주자본. 권1·2에 시 276수, 권3∼13에 소차 199편, 서계 7편, 소 24편, 계 20편, 권14∼21에 응제록 10편, 묘지명 20편, 신도비명 18편, 비 5편, 묘갈명 37편, 묘표 12편, 권22∼26
약혼 / 約婚 [사회/가족]
장차 혼인할 것을 약정하는 가문 혹은 당사자 사이의 신분상 계약. 약혼은 혼인을 위한 여러가지 절차 중의 하나로서 혼인제도에 포함된다. 약혼에 대한 문헌상의 근거는 전통적으로 이상적인 혼례규범으로 삼았던 많은 종류의 예서(禮書)에 규정되어 있으며, 현대에서는 「민법」
양근향교 / 楊根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에 있는 향교. 조선 중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대
양기손전 / 楊己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필사본. 「양기손전」에는 대부분의 가정소설에서 볼 수 있는, 첩이 본처를 모해하여 남편이나 시부로 하여금 내쫓게 하거나, 본처의 자녀를 학대하고 축출하는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이 작품에는 남편이 예쁜 첩에게 빠져 본처를 돌보지
양대박 / 梁大樸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관으로서 아들 경우와 가동 50명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같은 해 6월 고경명이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고경명을 맹주로 추대하고 유학 유팽로와 함께 종사관으로 활약
양덕향교 / 陽德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양덕군 동양면 하석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전문(紅箭門)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양등시과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1권 1책. 필사본. 책의 내용은 제명 그대로 온갖 종류의 등불 및 제등행렬(提燈行列)의 아름다움을 가사체로 노래하였다. 책 끝에는 전각 위에 앉아서 장안의 등놀이를 관망하던 임금이 좌우의 제신(諸臣)에게 등시(燈詩)를 지으라고 명하여 한림학사
양로연 / 養老宴 [정치·법제/법제·행정]
국가에서 경로·풍화를 위하여 설행하는 연회. 매년 중추 8월에 열며, 대소원인 중 80세 이상자는 모두 참석하였다. 부인 고령자에게는 왕비가 따로 내전에서 설연하고, 지방에서는 수령이 남녀를 구별하여 내청·외청에서 설연하였다.『경국대전』에서는 양로연의 대상을 대소원인
양명학 / 陽明學 [종교·철학/유학]
명나라의 왕수인(1472∼1528)에 의해 주창된 유학의 한 계통. 왕수인은 송의 육구연과 명의 진헌장의 심학을 계승하고, 격물궁리(格物窮理)를 추구하는 주희의 주지주의적인 이학과 대립하는 간명직절한 심학을 완성해 치양지학(致良知學).
양문충의록 / 楊門忠義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43권 43책의 국문필사본으로 장서각 도서본이 유일본이다. 『양문충의록(楊門忠義錄)』과 관계가 있는 작품은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이다.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와 『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은 연작 관계로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