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음악 / 音樂 [예술·체육/현대음악]

    예술의 한 분야. 박자와 가락, 음성 등을 다양한 형식으로 조화하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해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의 하나이다.

  • 음악무용서사시 / 音樂舞踊敍事詩 [예술·체육/무용]

    음악과 무용을 기본으로 하여 거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서사시적 화폭에 담아내는 대규모의 종합예술형식. 195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을 기념하여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이 처음 공연되어 인민상 계관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피바다’

  • 음양과 / 陰陽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관상감의 천문·지리·역수·점산·측후·각루 등의 일을 맡는 기술직원을 뽑기 위해 시행했던 잡과 시험.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초시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초시는 상식년 가을에 관상감에서 실시했고, 복시는 관상감이 예조와 함께 설행

  • 음양옥지환 / 陰陽玉指環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옥가락지를 매개로 하여 하늘이 정한 인연, 하늘이 정해 준 배필을 찾아 헤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영웅의 일생 구조를 지니고 있는 영웅소설이며 군담소설이고, 여걸소설 혹은 여장군소설에 속하기도 한다. 한편, 적강화소를 지니고

  • 음운 / 音韻 [언어/언어/문자]

    음모(音母)와 운모를 합하여 부르는 개념. 음운은 언어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문(部門, component)의 하나이다. 언어구조의 각 부문은 음운·문법·어휘 또는 음운·통사·의미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를 고전적인 3분법이라 한다면 후자는 변형생성문법 이후에 특히 애용

  • 음운첩고 / 音韻捷考 [언어/언어/문자]

    한자(漢字) 1만 1419자를 한자음별로 분류, 나열하고 각각의 한자에 그 석(釋)을 달아놓은 한자자전. 불분권(不分卷) 1책. 필사본. 한글자모의 배열순서나 한글표기로 보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석음(釋音)으로 보아 중부방

  • 음운체계 / 音韻體系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가 가지는 음소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유기적인 음운론적 관계. ‘대립’의 개념을 강조한 프라그학파에서는 한 언어에 실재하는 것은 음소 그 자체가 아니라, 한 음소와 또 다른 음소 사이의 음운론적 대립이라는 관점을 취했다. 즉 음소는 다른 음소와 여러 가지 대립 관

  • 음장설화 / 陰長說話 [문학/구비문학]

    거근(巨根)에 관련된 설화. 신라 지철로왕(智哲老王, 智證王)과 경덕왕(景德王)의 음경에 관한 설화가 대표적이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 제2 지철로왕조와 『삼국유사』 권2 기이편 제2 경덕왕충담사(忠談師) 표훈대덕(表訓大德)조에 수록되어 있다. 신라 제22대 지철로

  • 음죽 / 陰竹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이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노음죽현(奴音竹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음죽으로 고쳐 개산군(介山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충주로 이관시키고 뒤에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음죽현(陰竹縣)으로 고치고 현감을 두어 충청도

  • 음즙벌국 / 音汁伐國 [지리/인문지리]

    신라 초기에 복속된 주변에 있던 소국.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이 지역은 신라시대에는 퇴화군(退化郡) 음즙화현(音汁火縣)이 두어졌던 곳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하면 파사이사금 23년(108) 8월에 음즙벌국이 실직곡국(悉直谷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