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의령향교 / 宜寧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에 있는 향교. 1617년(광해군 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772년(영조 48)에 주지영(朱之榮)이 중수하였으며, 1950년 6·25동란시 파손된 것을 1975년 전교(典校)

  • 의례궤범 / 儀禮軌範 [언론·출판/출판]

    예류(禮類). 충청남도 편, 신연활자본, 대전:소화인쇄주식회사(1936). 불분권 1책(26장). 서문은 소화 10년(1935) 이범익(李範益), 판권기는 소화 11년(1936) 충청남도로 되어 있다. 충청남도에서 발행한 충남진흥월보 제22호의 부록으로《儀禮準則》을 증

  • 의례상정소 / 儀禮詳定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국가 전례, 사서의 예제·정치·사회 제도 등을 연구, 제정하고 기타 중요 국가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특별관서. 1401년(태종 1) 의례상정사라는 이름으로 예조 산하에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그 뒤 직무와 권한이 확대되어 최고급 특별 기구의 하나로

  • 의리적 구투 / 義理的 仇鬪 [예술·체육/영화]

    한국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는 최초의 작품. 1919년 10월 27일 개봉되었는데, 오늘날 이 날을 기념하여 '영화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영화는 연쇄활동사진극으로서 연극을 하다가 연극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부분을 활동사진으로 연쇄적으로 상영하였다. 따라서 완전한 영화

  • 의림유증집요 / 醫林類證集要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의가류(醫家類) 편자미상, 금속활자본(갑진자), 1책(영본), 전10권 7책. 표제와 판심제는 의림집요(醫林集要)이다. 일본 외, 우리나라에는 국립중앙도서관에만 소장 되어 있는 희귀 의서이다. 성종 연간의 갑진자본(甲辰字本), 표지의 당초문양(唐草文樣)

  • 의문문 / 疑問文 [언어/언어/문자]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 종결의 유형. 의문문은 의문형의 어말어미와 의문수행억양 등을 통하여 표시된다. 의문형의 어말어미로는 해라체의 ‘-(으)냐, -니, -(으)ㄹ까’ 등과 하게체의 ‘-(으)ㄴ가, -나’, 합쇼체의 ‘-ㅂ니까’ 등을 들 수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 疑問死眞相糾明委員會 [사회/사회구조]

    2000년 1월 15일 제정된 「의문사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같은 해 10월 17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된 기구.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날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민주화 운동과 관련하여 공권력의 위법한 행사로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온 사건에

  • 의물 / 儀物 [예술·체육/무용]

    정재를 상연할 때 의장으로 쓰이는 여러 가지 물건. 의식에 쓰이는 도구나 물건, 즉 의장 중에서 최근까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지고 사용되는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의물과 일부 중요의물을 『악학궤범』에 의거하여 소개하면 죽간자(竹竿子), 인인장(引人杖), 용선(龍扇), 봉

  • 의병 / 義兵 [정치·법제/국방]

    국가가 외침을 받아 위급할 때 국민 스스로가 일어나 조직하는 자위군. 즉, 국가의 명령이나 징발을 기다리지 않고 자원 종군하는 민군(民軍)이다. 의병의 전통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비롯되었으며, 고려·조선 시대를 거쳐 조선 말기에까지 이르렀다. 특히 조선 말기의 의병은

  • 의빈 / 儀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부마의 관부인 의빈부의 정1품·종1품 관직. ≪경국대전≫에서는 당·송제(唐宋制)에 따라 공주에게 장가든 의빈을 위(尉)로, 옹주에게 장가든 승빈도 위로, 군주에게 장가든 부빈을 부위(副尉)로, 현주에게 장가든 첨빈을 첨위(僉尉)로 고쳤지만 의빈부의 명칭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