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의영고 / 義盈庫 [생활/식생활]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꿀·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던 관서.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개혁을 단행하면서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종5품의 사 1인, 종6품의 부사 1인, 종7품의 직장 1인을 두었는데, 공민왕 때 종8품의 주부1인을 더

  • 의원 / 醫員 [과학기술/의약학]

    의료에 종사하던 기술관. 의원은 잡과인 의과에 합격하거나, 취재에 입격한 자로서, 의업을 배우는 존재인 의생과는 엄연히 구별된다. 조선시대의 의원 대다수는 내의원·전의감 및 활인서에 소속되어 근무하면서 동반체아직을 받았지만, 의정부·육조·충훈부·종친부 및 도총부에 배

  • 의원 / 醫院 [과학기술/의약학]

    진료 장비를 갖추고 의원(醫員)이나 의료 종사자가 의료 행위를 하는 시설. 대체로 병원보다 크기가 작고 시설이 열악하다.

  • 의유당 / 意幽堂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유당유고』 등을 저술한 문인. 남편 신대손의 누이가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친정숙부인홍인한(洪麟漢)에게 출가했으므로 혜경궁홍씨의 숙모에게는 친정올케가 되며, 형부인 김시묵(金時默)이 정조(正祖)의 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친정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 意幽堂關北遊覽日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수필집. 단권. 필사본. 이 작품은 조선조 여인의 글로는 매우 개성적이고도 우수한 작품이다. 소재가 특이할 뿐 아니라, 사물을 관찰하는 격조 높은 안목과 탁월한 표현력은 지은이의 문학적 역량이 어떠한가를 보여준다. 이병기는 「동명일기」를, “그 신묘

  • 의인 / 宜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 문무관 정6품의 승의랑·승훈랑·돈용교위·진용교위의 적처와 종6품의 선교랑·선무랑·여절교위·병절교위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의인은 조선 초기 태조 때에는 문무관 5품의 적처에게 봉하여졌는데 세종 때에는 정5품과

  • 의인 / 宜仁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안덕현(安德縣)의 지도보부곡(知道保部曲)이었는데, 1369년(공민왕 18) 의인현(宜仁縣)으로 승격시켜 안동부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1390년(공양왕 2) 예안군(禮安郡)에 이속시켰다. 그 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예안군이 안

  • 의인법 / 擬人法 [언어/언어/문자]

    무생물이나 동식물, 그리고 추상적 개념과 같은 인격이 없는 대상에다가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방법. 의인법은 한 문장 속에서 인격이 없는 대상에다가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경우 이외에 「토끼전」·「장끼전」·「이솝우화」 등에서처럼 한 작품 전체가 의인화된 것도 있다.

  • 의인소설 / 擬人小說 [문학/고전산문]

    무생물이나 동식물, 추상적 개념과 같은 대상을 의인한 소설. 의인이란 비인격적인 사상(事象)이나 동식물 등에 형태적 또는 심리적으로 인격을 부여하는 수법을 말한다. 이러한 의인 수법이 소설구조를 관통하면서 나타날 경우 이를 의인소설이라 한다. 한국 의인소설의 역사적인

  • 의장고 / 儀仗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전의 의장을 담당하던 병조 승여사 소속의 관서. 의장은 크게 길의장과 흉의장으로 나누어진다. 길의장은 궁궐의 길례·가례에 사용되는 것으로 왕·왕비·왕세자가 갖추는 양산·개·선·금고·기·당·등·과·부 등이 있었다. 흉의장에는 만장·방상식·삽·우보 등이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