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유구곡 / 維鳩曲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시용향악보 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다. 예종은 「버국새 伐谷鳥」를 지어 궁중에 있는 교방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데, 이것이 『시용향악보』에 실려 있는 「비두로기노래」일 것이라는 설이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비두로기

  • 유구천 / 維鳩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공주시·예산군·아산시의 경계인 봉수산(鳳首山, 534m)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로연장 40㎞. 차령산맥 서사면의 물을 모아 남쪽으로 유구면·신풍면·사곡면·우성면 일대를 지나 금강으로 흘러든다. 유구천은 높이 약 400m 이상의 봉우

  • 유군장 / 遊軍將 [정치·법제/국방]

    유군의 장. 조선시대 5위는 5부·4통으로 이어지는 정군 외에 유군 오령이 조직되어 있었다. 이들은 진중에서 대기중인 유격군으로서 정군과의 비율이 7대 3 정도였다. 유군장은 진법상 항상 위장의 왼쪽에 위치하였으며, 영장들을 호령할 때 사용하는 깃술이 달린 오색소기와

  • 유귀삼 / 柳貴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부는 유응성, 아버지는 유광문이다. 임익하의 딸과 결혼하였다. 박세채의 문인이며 윤증과 먼 인척 관계이다. 아들은 유만중이다.

  • 유극량 / 劉克良 [역사/조선시대사]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연안 유씨의 시조이다. 어머니는 재상 홍섬의 노비였다. 어려서부터 고학을 해 무과에 급제하였다. 당시의 신분 제도에서는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깊은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았다. 전라좌수사, 조

  • 유금강산기 / 遊金剛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형윤(李炯胤)이 지은 금강산 기행문. 그의 문집인 『창주집 滄洲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금강산기」는 종실(宗室) 문인인 저자가 1615년(광해군 7) 7월 27일에 서울을 출발하여 금강산을 유람하고 8월 26일에 돌아와 기록한 글이다. 이형윤은 서울의

  • 유금필 / 庾黔弼 [종교·철학/유학]

    ?~941년(태조 24). 고려 전기의 무신. 태조를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워 개국공신이 되었다. 929년 견훤이 고창군(古昌郡)을 포위·공격하자 많은 장수들이 진군을 망설였다. 그러나 유금필은 홀로 결사적인 태도로 임해 저수봉(猪首峰)으로부터 돌격

  • 유기 / 有璣 [종교·철학/불교]

    1707년(숙종 33)∼1785년(정조 9). 승려. 9세 때 속리산에 들어가 독서를 하다가 16세에 출가하였다. 28세에 가야산 해인사의 의눌 문하에서 공부하다가 낙암에게서 화엄학을 배워 화엄에 통달하였다. 31세에 학승들을 가르쳤으며, 15년 동안 해인사에서 후학들

  • 유기창 / 兪起昌 [종교·철학/유학]

    1437(세종 19)∼1514(중종 9).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해이다. 무과에 급제한 뒤 1496년(연산군 2) 만포진첨절제사가 되고 뒤에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병조참지에 임명되었으나,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하여

  • 유기환 / 兪箕煥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의 문신(?∼?). 1881년(고종 18)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을 시찰하였다. 1898년 군부대신서리로 개화세력을 탄압하였다. 1902년 7월 조선전권대신으로 한정수호통상조약 및 부속 통상장정을 조인하였다. 그 후 김옥균(金玉均)을 암살한 홍종우(洪鍾宇)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