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무용과 민속극 13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무용과 민속극
  • 수연장 / 壽延長 [예술·체육/무용]

    고려 때부터 전하는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고려사』 악지(樂志) 당악조(唐樂條)에 전하는 대곡(大曲)의 하나로, 상원(上元)에 군왕(君王)에게 진주(進酒)·축수(祝壽)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고려사』 악지에는 16인이 4대(隊)로 나뉘어 추는 것으로 되어 있

  • 승무 / 僧舞 [예술·체육/무용]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의 하나.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본래는 지역에 따라 각기 양식과 구성을 달리하면서 그 고장의 광대(廣大)들, 특히 판소리꾼에 의해 추어져왔으나, 구체적인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1900년대 초 협률사(協律社)의 조직에서 비롯하여 광무대(光

  • 승무살풀이춤 / 僧舞─ [예술·체육/무용]

    수원 지방의 재인청(才人廳)에서 계승된 민속무용. 승무는 민속무용의 정수로 손꼽히며 불교의 교리의 입장에서 본 불교 기원설에서 유래하였다. 기원설이 여러 가지 전해져 내려 오고 있는데, 승무의 긴 장삼 소매를 잘 승화시킨 춤이다.그 발달 과정은 첫번째로 소리 광대를 주

  • 승전무 / 勝戰舞 [예술·체육/무용]

    통영(충무)에서 전승되어 온 궁중무고형(宮中舞鼓型)의 북춤.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창사(唱詞) 내용의 일부에 이순신(李舜臣)의 충의와 덕망을 추앙한 부분이 있어 승전무라고 한다. 궁중에서는 ‘무고(舞鼓)’라는 이름으로 기녀와 무동들에 의하여 전승되었고, 현재도 전해지

  • 신로심불로 / 身老心不老 [예술·체육/무용]

    1936년 말에서 1940년 사이 최승희의 유럽공연 동안에 발표된 신무용 작품 명칭 또는 1949년 뉴욕 자연사박물관에서 조택원의 한국춤 레퍼토리로 초연된 신무용 작품 명칭. 한국 옛 노인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흰 도포와 갓을 착용하고, 노인 가면을 쓰고긴 담뱃대(곰

  • 신칼춤 / 神─ [예술·체육/무용]

    신칼을 가지고 추는 무당춤의 일종. 신칼은 무속의례에서 가장 기본적인 신구(神具)이므로 신칼춤은 우리나라 전지역의 무당들에 의해서 추어지고 있다. 축귀(逐鬼)·청신(請神)·오신(娛神)·점술(占術) 등과 같은 제의적 기능을 가진 신칼춤은 잡귀를 몰아내는 전투적인 춤(逐鬼

  • 심청 / 沈淸 [예술·체육/무용]

    유니버설발레단의 대표 레퍼토리로서 동서양의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룬 창작발레. 유니버설발레단의 초대 예술감독인 에드리언 댈러스는 ‘심청’의 아름답고 교훈적인 이야기를 1986년 창작발레로 만들었다. 이후 「심청」은 두 차례 큰 수정과 보완을 거쳤다. 첫 번째는 2001년

  • 십삼도자랑 / 十三都자랑 [예술·체육/무용]

    항일 혁명 시기에 창작된 유희극. 각 도 별로 그려진 13개의 지도를 13명의 소년, 소녀들이 차례로 들고 나와 자기도의 자랑을 노래하며 그것을 무대 한편에 세워놓은 판에 차례로 붙여가면서 완전한 하나의 조선지도를 만들어 놓는다. 이때 부르는 노래는 조선의 13도를 의

  • 안락무 / 安樂舞 [예술·체육/무용]

    1912년에 창작되어 1920년대 초반까지 경성의 기생이 춘 춤. 안락무에 죽간자를 든 기생 2명의 이름만 거론되었을 뿐이다. 궁중무 계통으로 창작되었을 것이나, 자세한 구성과 형식, 인원 등을 알 수 없다. 1912년 4월 21일부터 5월 26일까지 있었던 단성사 강

  • 안성향당무 / 安城香堂舞 [예술·체육/무용]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춤. 향당이라 불리던 가무교습소에서 시작된 전통춤으로, 서민적 정서와 나라의 안녕을 수건과 깃발 등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춤이다. 안성 향당무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을 평정한 후 승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