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맹감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맹감이란 ‘명관(冥官)’ 또는 ‘명감(冥監)’의 와음(訛音)으로 보이며, 그 본풀이의 내용이나 액막이 제차의 내용으로 보아 저승의 사자, 곧 차사의 이칭(異稱)인 듯하다. 액막이는 어떤 굿에서나 반드시 행해지는 제차로, 저승의 차사

  • 맹골군도 / 孟骨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리에 있는 맹골도와 그 주변의 섬들. 진도 남단에서 남서쪽으로 52.6㎞ 지점에 있다. 동북쪽에는 거차군도를 형성하는 서거차도가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조도지구(鳥島地區)에 해당된다. 지명은 가장 큰 섬인 맹골도에서 유래되었다. 농경지가

  • 맹골도 / 孟骨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5°51′, 북위 34°11′에 위치하며, 하조도에서 남쪽으로 16.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38㎢이고, 해안선 길이는 5.0㎞이다. 죽도(竹島)·곽도(霍島) 등과 함께 맹골군도를 이룬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 맹부산 / 猛扶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과 평안북도 강계군 간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214m. 낭림산맥에 속하며 이 산으로부터 적유령산맥이 남서방향으로 이어진다. 북서쪽에 총곡령(總曲嶺, 2,066m), 남쪽에 총전령(葱田嶺, 2,084m)·와갈봉(臥碣峯, 2,261m), 북쪽

  • 맹산군 / 孟山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함경남도 영흥군에 접하고, 서쪽은 덕천군, 서남쪽은 순천군, 북동쪽은 영원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11′∼126°40′, 북위 39°24′∼39°51′에 위치하며, 면적 1,101㎢, 인구 약 5만 136명(1944년 현재)이

  • 맹산분지 / 孟山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맹산군 맹산읍을 중심으로 발달한 분지. 토질은 대부분이 충적지토양으로 되어 있으며, 구릉지역에는 산림갈색토(山林褐色土)가 분포하고 있다. 북쪽의 약태산(藥苔山, 973m), 동쪽의 철옹산(鐵瓮山, 1,095m), 남쪽의 복호덕산(伏虎德山, 827m) 등의 높은

  • 맹산흑송림 [과학/식물]

    평안남도 맹산군 맹산읍 일대에 있는 흑송림 북한 천연기념물 제53호. 이 일대에는 약 200여년된 흑송림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마른잎 키나무로서 줄기 높이는 약 25m, 지름 약 1m이며 어릴 때 나무껍질은 약간 붉은색이나 자라면서

  • 머루 [과학/식물]

    포도과에 속하는 넌출성 낙엽식물. 머루란 산포도의 총칭으로 과실을 식용하는 머루속과 식용할 수 없는 개머루속으로 크게 구분된다. 머루속에 속하는 종류로는 왕머루·새머루·까마귀머루 등이 있다. 머루속 식물은 줄기의 골속이 갈색이며 수피에는 피목이 없고 세로로 벗겨지며 꽃

  • 먹으면 죽는다는 꿀 [문학/구비문학]

    어린 중이 꾀를 써서 스님이 혼자 먹으려던 꿀을 다 먹어버렸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며, ‘사미설화(沙彌說話)’·‘스님과 상좌’·‘훈장과 학동’ 등으로도 불린다. 문헌상으로는 16세기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권5와 홍만종(

  • 멀구슬나무 / Melia azedarach L. [과학/식물]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표고 300m 이하 마을 부근이나 산록에 식재 또는 자생한다. 나무의 지름은 30∼100㎝이며, 높이는 15∼20m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고창군청 내에 소재하는 멀구슬나무는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