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훈민정음통사 / 訓民正音通史 [언어/언어/문자]

    방종현(方鍾鉉)이 지은 국어학연구서. 제1편 훈민정음 이전 분야에서는 향가·이두와 토(구결)를 설명하였고, 아울러 『계림유사』와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의 내용과 그 가치를 말하였다. 제2편 훈민정음의 저작에서는 훈민정음의 이름으로 훈민

  • 흙일꾼 / 흙일꾼 [사회/사회구조]

    흙을 묽게 이기거나 물에 풀어 바르는 일을 하는 직업인. 한국의 전통 가옥을 건축하는 데 있어서 흙은 필수적인 건축재료였고, 아무런 가공 없이 쓰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가공하여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게다가 흙일은 종류도 다양하였고, 각각의 흙일마다 사용되는 흙과 재

  • 흥 / 興 [문학/고전시가]

    사람과 천지의 기운이 만나서 일으키는 재미나 즐거운 감정. 조선 후기 철학자인 최한기는 사람을 포함해 천지의 기운은 ‘활·동·운·화(活動運化)’한다고 하였다. 고려 후기, 조선 전기에 나타났다. 13세기의 이규보(李奎報)는 “흥이 깃들이고 사물과 부딪칠 때마다 시를 읊

  • 희곡무가 / 戱曲巫歌 [문학/구비문학]

    굿거리 중 대화와 극적인 행위를 통하여 연극적으로 전개되는 무가.굿놀이. 지금까지 알려진 희곡무가는 경기도 양주의 「소놀이굿」, 동해안 지역의 「도리강관원놀이」·「거리굿」·「범굿」·「중잡이놀이」, 제주도의 「세경놀이」·「영감놀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각 굿거리

  • 희진 / 喜璡 [종교·철학/불교]

    1917년∼1979년. 현대의 선승(禪僧). 호는 경산(京山), 성은 손씨(孫氏)이고, 함경북도 북청 출신이다. 1936년 금강산 유점사(楡岾寺)로 출가하여 수암화상(秀庵和尙)을 은사로 득도(得度)하였다. 1949년 금정선원(金井禪院)에 머무르면서 한국불교의 중흥을 계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