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우 / 李瑀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서화가. 원수 아들, 이 동생, 어머니는 사임당신씨다. 1567년 진사시에 합격, 비안현감과 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시·서·화·금을 다 잘하여 4절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사군자·포도 등을

  • 이우재 / 李愚在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의천이다. 1804년(순조 4)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808년(순조 8) 외직으로 경상좌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경상도를 감찰하고 돌아와 환곡의 폐단을 바로 잡아 혁신할 것, 여러 역을 부과하는 폐단을

  • 이우정 / 李宇鼎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구경 증손, 할아버지는 홍장, 아버지는 익로, 어머니는 조빈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우승지, 대사간, 예조참판,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우현 / 李禹鉉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 무신. 조부는 이도병, 부친은 이종주이다.1765년(영조 41) 식년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4년(정조 8) 서산현감으로 재직 중 고을을 잘 다스린 공로를 인정받아 품계를 올려 받았다. 1789년(정

  • 이우흠 / 李友欽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15년(숙종 41) 4월 30일.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자는 구이(久而), 본관은 덕수(德水), 출신지는 서울이다. 문예(文藝)에 일찍 성취하여 가르치지 않아도 번다하게 꾸미지 않았다. 특히 과거시험용 글인 공령문(功令文)을 정교하고 아

  • 이운선전 / 李雲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의 구성은 다른 고전소설보다 비교적 단순하다. 전반부는 남녀주인공의 결연과정이 그려져 있는데, 그 결연과정을 점복사상에 의하여 전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남자주인공을 사모하는 주모의 딸이 남자주인공을

  • 이운영 / 李運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94). 1759년(영조 35)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옥국재유고》가 있다.

  • 이원록 / 李元祿 [종교·철학/유학]

    1514(중종 9)∼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추의 증손, 할아버지는 의무, 아버지는 행, 어머니는 이조의 딸이다. 이조정랑으로 재직 중 을사사화가 일어나 많은 사림이 화를 입자,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를 비판하고 이황·정황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하였다.

  • 이원배 / 李元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5∼1802). 이재형의 문인으로 경학에 밝아 정조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조정으로부터 여러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문집으로《구암집》이 있다.

  • 이원익 / 李元翼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정은 증손, 할아버지는 표, 아버지는 억재, 어머니는 정치의 딸이다. 강서·조충남 등과 교유하였다. 키작은 재상으로 널리 불렸다. 1569년(선조 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듬해 승문원권지부정자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