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여송설화 / 李如松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의 하나로, 『기문총화(記聞叢話)』·『난중잡록(亂中雜錄)』·『대동기문(大東奇聞)』·『동야휘집(東野彙輯)』·『임진록(壬辰錄)』·『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 등에 실려 있다. 이여송은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조선을

  • 이여절 / 李汝節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1789년(정조 13) 단천부사, 부령부사, 창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재임시 형장을 남용하여 무고한 백성을 남살하였다는 죄목으로 지평 남이익과 영남암행어사 유경의 탄핵을 받아 1795년 위원에 유배되었다가 같은해 강계의 군졸로 충군

  • 이역죽지사 / 異域竹枝詞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유원(李裕元)이 지은 연작시. 외국의 풍물과 역사를 칠언절구로 노래하고 간략히 주석을 달아두었다. 『임하필기 林下筆記』 권39에 수록되어 있다. 「이역죽지사」는 조수삼(趙秀三)의 「외이죽지사 外夷竹枝詞」와 함께 청나라 우동(尤侗)의 「외국죽지사 外國竹枝詞

  • 이연서원 / 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암리에 있었던 서원.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이연(伊淵)’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

  • 이연응 / 李沇應 [종교·철학]

    1818년(순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낙중, 생부는 남연군 이구의 사촌 이화중이다. 1866년(고종 3) 선파유무응제부로 전시에 직부하여 같은 해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 이후 홍문관부수찬·승정원동부승지·이조참의·종정경·이조참판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

  • 이염 / 李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암 후손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하항·유종지 등 동인들과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대학』의「성의장」은 몸소 실천하여 체득하려 노력하였으며, 실제로 효우가 지극하여 부모를 섬김과 형제를 사랑

  • 이엽 / 李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9∼1788). 1777년(정조 1)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부사과·선조보감찬집랑·전적 등을 거쳐 공조정랑에 이르렀다. 문장·재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주역》에 조예가 깊고, 실학사상에도 관심이 많았다.

  • 이영 / 李栐 [종교·철학/유학]

    1670년(현종 11) 10월 19일∼1735년(영조 11) 5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함, 조부는 이시명이다. 부친은 이융일, 모친은 김초의 딸이다. 부인은 성문하의 딸이다. 백부 이현일이 별세한 후에는 가학이 실추될까 염려되어 두 형과 함께 학문에

  • 이영 / 李泳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시백의 증손, 할아버지는 흔, 아버지는 상윤, 어머니는 허계의 딸이다. 큰아버지 상주에게 입양되었다. 1674년(현종 15) 음서로 후릉참봉이 되고, 곧이어 예빈시봉사를 거쳐 군자감직장을 역임하였다. 그뒤

  • 이영준 / 李榮俊 [과학/과학기술]

    생몰년 미상. 조선 인조 때의 역관(曆官). 진주사(陳奏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두원(鄭斗源)과 함께 예수회 선교사인 로드리게스(Rodrigues, J., 陸若漢)에게 서양과학을 배웠다. 특히 서양식 천문추산법을 배워 그 지식을 조선에 전하였으며, 그들이 가지고 돌아온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