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공예 36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공예
  • 고흥운대리도요지 / 高興雲垈里陶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에 있는 고려시대 이후 해무리굽 청자완·분청사기 등이 출토된 가마터.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80호. 고흥군은 전라남도의 남쪽 끝 바다와 접한 곳이며, 이곳 고흥읍에서 보성으로 향하는 국도 약 10㎞ 지점에 운대리가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초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谷城泰安寺靑銅大鈸鑼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바라. 보물 제956호. 지름 94㎝. 2매(枚) 1쌍(雙). 바라란 발(鉢)·발자(鉢子)·요발(鐃鈸)·동반(銅盤) 등으로 불리는 불교 타악기의 일종으로서, 그 형태는 마치 서양 악기인 심벌즈의 모습과 유사하다.

  • 곡성태안사동종 / 谷城泰安寺銅鍾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1349호. 조선시대 불교 사찰에서 사용한 범종이며, 명문을 통해 158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종의 몸체는 곡선을 이루면서 구연부가 안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

  • 공예 / 工藝 [예술·체육/공예]

    실용적 가치와 미술적 가치를 가진 공작에 관한 기법 또는 조형예술. 일반적으로 공작으로 만들어진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따라서, 그 물건을 만드는 과정도 문제가 되지만, 물건 자체의 양식이나 양식의 변천에 관하여 더욱 관심을 보이게 된다.공예품은 인간이 생활을

  • 공주영은사청동범종 / 公州靈隱寺靑銅梵鐘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영은사에 소장되어 있는 범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1호. 현재 영은사 원통전에 소장되어 있다. 범종의 상대는 이중으로 된 원 안에 독립된 글자[범어]를 1자씩 마련한 육자대명왕진언(옴·마·니·반·메·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복하여 모두

  • 공주학봉리요지 / 公州鶴峰里窯址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철회분청사기와 백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33호. 계룡산 요지 가운데 가장 중심되는 곳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라 5악 중 서악(西嶽)으로 불리던 영산(靈山)으로, 이곳의 동쪽 산기슭 일대에는 고려시대 말에

  • 곽재우 유물 일괄 / 郭再祐遺物一括 [예술·체육/공예]

    조선 후기의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일괄 유물. 보물 제671호.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 그의 호는 망우당이다. 이 유물들은 임진왜란 당시 그가 사용했다고 전하는 장검과 마구, 그리고 평소에 쓰던 벼루, 연적, 철인, 갓끈 등의 일괄품이다. 장검은

  • 관요 / 官窯 [예술·체육/공예]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사기 제작을 위한 제조장.광주관요.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설치 운영되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왕실과 관청에서 사용되는 기물을 제작하는 관요에 관한 문헌이 없으나, 그 당시의 고분과 사지(寺址) 등에서 출토되는 무수한 토기를

  • 광명사동종 / 光明寺銅鐘 [예술·체육/공예]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고묘사[光明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높이 88㎝, 입지름 51㎝. 중형(中型)에 속하는 종으로, 상하대(上下帶)의 무늬는 각각 다르게 장식하였는데, 상대는 S자형 물결 모양의 당초문(唐草文)을 연속하여 둘렀고, 하대는 상대보다 약간 넓게

  •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 / 光山盧氏憤墓出土明器類 [예술·체육/공예]

    광주광역시 북구 생룡동 지내마을 광산노씨 분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의 명기류. 36점.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6호.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장. 이 명기류는 1987년광주광역시가 생룡동 일대에 우치공원 용지를 조성하던 중 선대의 분묘를 이장하면서 발견되었다.명기류 및 부장품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3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