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제위보 / 濟危寶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한역시와 작품이 지어진 경위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한다. 『고려사』 에 따르면, 한 부인이 죄로 인하여 제위보(고려시대에 빈민이나 행려자들을 구호하는 일을 맡은

  • 제일기언 / 第一奇諺 [문학/고전산문]

    1835∼1848년에 홍희복(洪羲福)이 청나라 이여진(李汝珍)의 『경화연(鏡花緣)』을 번역·필사한 책. 한글필사본. 번역·필사자 홍희복(1794∼1859). 20권 18책. 청대 이여진(1763∼1830)이 지은 『경화연』(100회)을 번역한 책이다. 원전 『경화연』은

  • 제정집 / 霽亭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이달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권4에 수록된 구본(舊本)의 발문에 의하면 초간본은 손자 영상(寧商)이 강원관찰도사로 재임할 때에 춘천도호부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산일(散佚)되어버리고

  • 제주도속담 / 濟州島俗談 [문학/구비문학]

    진성기가 400여 개의 제주 속담을 수록하여 1958년에 편찬한 속담집. 총 120면. 1958년 제주시 제일프린트사에서 간행하였다. 최현배(崔鉉培)의 머리말과 이기형의 서에 이어 400여개의 속담이 가나다 순으로 실려 있다. 풀이는 대부분 화자(話者)의 설명을 중심

  • 제주민요집 / 濟州民謠集 [문학/고전시가]

    1958년 김영삼이 제주도 민요 중 118편을 선별하여 기능·창자·내용 등의 기준을 통해 분류·편찬한 민요집.가록류·제주민요채록집. 김영삼이 제주대학에 재직하는 중에 제자 한용주 외(外) 수십 인과 함께 녹음·채록한 제주도 민요 900여 편 가운데 유사한 각편(各篇)을

  • 제주풍토기 / 濟州風土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건(李健)이 지은 한문 수필. 유배지인 제주도를 배경으로 창작한 한문수필. 유배한문수필로 다루기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규창집(葵窓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제주풍토기」는 17세기 제주도의 풍속과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 제주풍토록 / 濟州風土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김정(金淨)이 지은 기행록. 제주도 유배생활에서 체험한 그곳의 풍토와 상황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글로, 김정의 문집인 『충암집(冲庵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제주풍토록」은 작자 김정이 1519년(중종 14) 11월에 일어난 기묘사화로 인하여 진도에서 제주

  • 제천마록후 / 題天磨錄後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행(李荇)이 지은 한시. 1502년(연산군 8)에 10일간 박은(朴誾) 등과 송경에서 노닐며 지은 시의 모음집인 『천마록』을 보고 지은 작품이다. 오언율시 8구로 작자의 문집인 『용재집(容齋集)』 권2, 『기아(箕雅)』 권5, 『국조시산(國朝詩刪)』 권4

  • 제호시화 / 霽湖詩話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양경우가 자기 주변 인물들의 일화을 중심으로 엮은 시화집. 1647년(선조 25)에 간행된 그의 문집인 『제호집 霽湖集』 11권 3책 중 권9 시화부문을 뒤에 홍만종(洪萬宗)이 『시화총림 詩話叢林』에 간추려 수록하였다. 서울대학교 도서관도서에 있는 『어우

  • 제호연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낙질본. 「제호연록」은 도학군자인 화진(또는 화형옥)과 동생인 승상 화태형, 그리고 임부인·윤부인·남부인으로 이루어진 화씨가문을 중심으로 하여 줄거리가 전개된다. 여러 가문이 얽혀 벌이는 결연과 가정 내에서의 쟁총과 애증이 주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