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왕시전 [문학/고전산문]

    작가 연대 미상의 남녀이합형(男女離合型) 한글 고전소설.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설공찬전」 「왕시봉전」 「비군전」 「주생전」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이들 작품들을 고려할 때, 「왕시전」은 고전소설 초기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총 12쪽 정도의 짧은 분량

  • 왕십붕기우기 / 王十朋奇遇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중국 원나라의 희곡 「형차기(荊釵記)」를 개작한 작가 미상의 한문소설. 『신독재수택본전기집(愼獨齋手澤本傳奇集)』으로 불리는 소설집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는 『묵재일기(默齋日記)』 제3책 이면에 필사되어 있는, 한글본 「왕시봉뎐」이 있다. 「왕시봉뎐」이 「형

  • 왕현전 / 王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왕현전」은 주인공 왕현의 영웅적 활약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대개 영웅소설은 혼사장애를 극복하는 결연담과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는 무용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도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결연담보다는 무용담이

  • 왕회전 / 王會傳 [문학/고전산문]

    1840년(헌종 6)에 김제성(金濟性)이 지은 한문소설. 2권(상·하) 1책(72장). 필사본. 「왕회전」은 ‘숭정 기묘년간(崇禎 己卯年間)’에 한 서생이 금화사에 투숙하였다가 한 꿈을 얻었다.’고 함으로써,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금화사몽유록」의 창작 시기가 ‘

  • 외설설화 / 猥褻說話 [문학/구비문학]

    남녀간의 난잡하고 부정한 성생활을 소재로 한 이야기. 원칙적으로 이런 종류의 이야기들은 소담의 각 유형, 예컨대 사기형(詐欺型)·기지형(機智型)·과장형(誇張型) 등에 배속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내용들이 비교육적이고, 또 청자와 구연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을 고

  • 요로원야화기 / 要路院夜話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숙종 때 박두세(朴斗世)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수필 형식의 단편산문. 1책. 필사본. 두 인물의 대화를 통하여 양반층의 횡포와 사회의 부패를 보여주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향토 양반들의 실태와 그들의 교만성을 서울 양반에게 빗대어 지적한다거나 양반의 허세에

  • 요화전 / 瑤華傳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정병인(丁秉仁)이 지은 『요화전(瑤華傳)』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낙선재본으로 장서각에 22권 22책이 있고 규장각에도 14권 7책이 있다. 청나라 때 정병인(丁秉仁)이 지은 『요화전(瑤華傳)』(42회)을 완역한 책이다. 한글필사본은 규장각에 소

  • 용강사 / 龍江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장편 칠언고시로, 작자의 문집 『옥봉집(玉峰集)』에 전한다. 형식은 서울 가서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낙네의 사설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사람인 백광훈이 생활감정을 절실하게 표현하는 방향으로 한

  • 용궁부연록 / 龍宮赴宴錄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 용궁으로 초대되어 가서 겪은 일을 주된 내용으로 한 작품으로서 구조유형상 몽유소설(夢遊小說)이라 부른다. 줄거

  • 용궁설화 / 龍宮說話 [문학/구비문학]

    수중세계(水中世界)의 왕궁인 용궁이 등장하는 설화. 용궁이 등장하는 이야기로는 『삼국유사』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수로부인이 임해정(臨海亭)에서 해룡에게 납치되었다가 귀환하여 해중(海中)의 일을 말하는 가운데 칠보궁전이 있고 음식이 맛있고 향기로웠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