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원익선생영정 / 李元翼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원익의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이원익은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른 후 1573년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1575년 이후 정언(正言)·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1
이원조 / 李源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2∼1872). 1809년(순조 9)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정언·경주부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사족들의 사치를 비판하고 백성들의 거듭된 흉년에 의한 어려움을 극간하였다.
이원진 / 李元鎭 [종교·철학/유학]
1594(선조 27)∼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인 증손, 할아버지는 상의, 아버지는 지완, 어머니는 이결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생원으로서 대북의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영의정 이원익 등과 함께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났다. 1630년(인조
이원향교 / 利原鄕校 [교육]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438년(세종 2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향선동에서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599년(선조 32)에 유생 김사영(金士詠)·강탁(姜濯)·강윤조(姜胤祖) 등이 동재
이원회 / 李元會 [종교·철학/유학]
1827년(순조 27)∼미상. 조선 말기의 무관. 이기석의 아들이다. 무과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금위영천총,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좌·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81년초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 같은해 11월 군무사
이원휘 / 李源彙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이승간의 후손이다. 품행이 단정하고 효우가 돈독했다고 전한다. 학문에 뜻을 두고 성담 송환기의 문하에 나아가 배웠다. 학행이 뛰어났다. 스승 송환기가 죽자 그의 행장을 썼다.
이원희 / 李元熙 [종교·철학/유학]
미상∼1888년(고종 25). 조선 말기의 무신. 이익권 아들이다. 여러 무관직을 두루 역임한 뒤 1858년(철종 9) 경상좌도병마절도사, 이듬해 우포도대장 재직중 돈의문에서 발생한 괘서사건의 범인을 체포하지 못한 책임으로 파직당하였다. 1869년 형조판서, 어영대장·
이유 / 李濡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21(경종1). 조선 후기의 문신. 여 후손, 후재 증손,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중휘, 어머니는 김광찬의 딸이다.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병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송시열의 문인으로
이유 / 李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36). 1719년(숙종 45) 증광시문과 병과급제 후 장연부사·강화유수·부제학·이조판서·형조판서·병조판서 등을 지냈다. 1725년《선조실록》 편찬과 각사 서리 폐단을 건의, 시정토록 하였다. 1736년 원접사로 발탁되었다.
이유민 / 李裕民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지란의 후손, 명로의 증손, 할아버지는 문주, 아버지는 핵, 어머니는 이승효의 딸이다. 1696년(숙종 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 병조좌랑·부안현감, 홍주목사, 형조참판, 공조판사,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