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공예 총 36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공예
광주 조선백자 요지 / 廣州朝鮮白磁窯址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분청사기·청화백자 등을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14호. 광주 일대에는 조선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성립된 분원 요지가 많이 남아 있다. 광주 일대의 분원요지의 분포를 보면 퇴촌면,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남종면,
광주충효동요지 / 光州忠孝洞窯址 [예술·체육/공예]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청자 등을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141호.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충효동 일대에는 14세기 말부터 17세기에 이르는 분청사기와 백자 가마터가 분포되어 있다. 충효동 분청사기 가마터는 1963년과 1991년 두 차례에 걸쳐
괘등 / 掛燈 [예술·체육/공예]
전각(殿閣)·누각(樓閣) 또는 주택의 들보나 추녀 끝에 다는 등기. 철사(鐵絲)·동사(銅絲)·나무·대나무로 골격을 하고, 깁[紗]·종이·유리·뿔을 씌우며, 내부에는 초나 등잔을 넣어 불을 밝혔다. 재료나 형태 또는 용도에 따라 사방등(四方燈)·육각등(六角燈)·양각등(羊
구완동상감청자가마터 / 舊完洞象嵌靑磁─ [예술·체육/공예]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고려후기 이후 상감청자·인화분청사기 등이 출토된 가마터.시도기념물.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5호. 1996년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하여 모두 2기의 가마유적이 확인되었다.2기의 가마 중 1호가마는 경작과 개간으로 인하
구완동청자가마터 / 舊完洞靑磁─ [예술·체육/공예]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 청자를 굽던 가마터.시도기념물.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4호. 1995년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11세기경에 청자를 생산하였던 청자가마 2기와 고려 후기의 기와가마 1기가 발견된 가마터이다.청자 1호가마는 총
국가민속문화재 / 國家民俗文化財 [예술·체육/공예]
국민생활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 불가결한 민속자료 중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문화재.중요민속자료. 민속자료란 의(衣)·식(食)·주(住)·생업·신앙·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습·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기구(器具)·가옥 등으로서 문화재위원회의
군포산본동조선백자요지 / 軍浦 山本洞 朝鮮白磁 窯址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군포시에 있는 조선시대 생활백자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342호. 경기도 군포시 산동2동 골안마을에 소재하는 조선백자요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대한주택공사의 산본지역택지개발 조성계획에 따른 구제발굴의 하나로 실시되었다. 이 요지는 발굴조사 전까지 학계에 전혀
궁시장 / 弓矢匠 [예술·체육/공예]
활과 활촉을 만드는 기술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활과 화살을 제작하는 공인은 어느 시대에나 각각 전업화(專業化)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각종 공장의 기록과 기술자 명단에서 그들을 ‘○○匠’이라 호칭하지 않고, 유독 ‘궁인(弓人)’·‘시인(矢人)’이라 한 것을 보면
귀면 청동로 / 鬼面靑銅爐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청동화로. 국보 제145호. 높이 12.9㎝인 이 화로는 노신(爐身)이 훈구부(燻具部)와 기대부(器臺部)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훈구부는 솥모양으로 되어 있어 구연부(口緣部)의 가장자리가 삼릉형(三稜形)으로 되어 있다. 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2개의
귀면문 / 鬼面文 [예술·체육/공예]
벽사의 뜻으로 건축물 또는 공예품에 부수되는 부분에 괴수 얼굴이나 몸의 형상을 나타낸 문양. 주술적인 제기(祭器)의 장식의장이나 건축 또는 고분 등에서 상징적인 그림으로 많이 나타난다. 표현형식은 귀면이라는 말 그대로 얼굴부분을 주로 하였으나, 때로는 전지(前肢)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