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농부사 / 農夫詞 [문학/고전시가]
17세기 후반에 김기홍(金起泓)이 지은 농촌가사. 관곡(寬谷) 김기홍(金起泓, 1635∼1701)이 함경북도 관곡에서 생활한 45세 이후부터 60세 전후한 시기에 농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당위성을 강조하며 지은 가사이다. 서사인 제1단락(건곤乾坤이 열닌 후에∼본업本
농서별곡 / 隴西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권광범(權光範)이 지은 가사. 필사본. 내용은 농서의 지세와 경개로부터 시작하여 농서의 관기로 짐작되는 기생들의 이름 뒤풀이이고, 후반은 작자가 전신 기생의 양녀로부터 화류객의 꾀임과 그에 동조하는 양모의 유혹에 시달린다는 말을 듣고 그 인물과 재질이 범연
농암가 / 聾巖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조. 1665년(현종 6)에 간행된 그의 문집 『농암문집(聾巖文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보는 영남사림(嶺南士林)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첫 세대였다. 그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늘 강호(江湖)로 돌아가고자 마음먹었다. 그래서
농암잡지 / 農岩雜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협(金昌協)이 지은 학술·문학에 대한 비평서. 4권. 목활자본. 서(序)와 발은 없고 내편 3권, 외편 1권으로 나뉘어 있다. 모두 402항목으로 되어 있다. 내편은 주로 경학에 관한 저자 자신의 학술적인 의견을 개진한 것이고, 외편은 우리 나라와 중국
농암집 / 農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이 책은 여러 차례 증보, 간행되었다., 원집 34권은 김창협이 사망한 다음해인 1709년(숙종 35)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그 유문을 수집하고, 1710년에 아우 창흡(昌翕) 등이 활
농환재가사집 / 弄丸齋歌詞集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남도진(南道振)의 가사집. 1책. 국문필사본. 「낙은곡」 12장, 「낙은별곡」 92구, 「단가」 3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방익(李邦翼)이 지은 「표해가(漂海歌)」의 일부분이 첨부되어 있다. 이 사본의 발견으로 이본의 하나인 강전섭 소장 『낙은별곡첩(樂隱別曲
뇌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제문(祭文)의 일종으로 죽은 이를 위하여 애도하는 문장이다. 맨 처음에는 죽은 이의 시호(諡號)를 짓기 위하여 그 자료로 짓던 것이었다. 뇌의 의미가 바로 ‘포개다(累)’가 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뇌는 『문체명변(文體明辨)』에서 죽은 이의 일평생
누항사 / 陋巷詞 [문학/고전시가]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박인로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
눈과 비단띠를 맞바꾼 가재와 지렁이 [문학/구비문학]
지렁이는 왜 눈이 없으며 땅속에서 사는가에 대한 이유를 다룬 설화. 옛날에는 지렁이도 눈을 가졌고, 가재는 눈이 없는 대신 훌륭한 비단띠를 가졌다. 서로 상대방의 것이 좋아 보여 맞바꾸기로 하였다. 눈을 잃은 지렁이는 곧 눈의 소용을 깨달아 가재에게 되돌려주기를 요구하
눈먼 아우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형에 의하여 쫓겨난 아우가 호랑이의 말을 엿들어 성공하고, 그 형은 아우를 본뜨다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옛날에 악한 형과 착한 아우가 살았는데, 하루는 형이 아우의 눈을 멀게 하고는 내쫓았다. 아우는 나무 위에서 자다가 우연히 호랑이들끼리 하는 말을 엿듣고, 그 말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