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간독정요초 / 簡讀精要抄 [교육/교육]

    아동들에게 여러가지 상식과 편지 등 문장작성에 필요한 내용들을 교과용으로 편집한 책. 편저자 및 편찬연대는 미상이다. 1권. 필사본. 시령(詩令)·물명(物名)·문학(文學)·서식(書式)·청사(請謝)·과거(科擧)·방곤(方閫)·조하(吊賀)·혼례(婚禮)·국기(國忌)·읍호(邑號

  • 간독정초 / 簡牘精抄 [생활]

    척독류(尺牘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9.5×19.5cm이다. 간독정초(簡牘精抄)와 몇몇 필사기록이 합철(合綴)된 책이다.

  • 간독집 / 簡牘集 [생활]

    척독류(尺牘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8.1×19.8cm이다. 여러 간찰(簡札)을 필사한 책으로, 제목은 가칭이다.

  • 간돌도끼 [역사/선사시대사]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鐵斧)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간석기의 출현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고, 간돌도끼는 이 시대의 가장 대표적

  • 간동유고 / 澗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병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68년 재종손 진도(鎭道)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족제(族弟)인 병관(炳灌)의 서문과 권말에 성기운(成璣運)·진도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2

  • 간두령 / 竿頭鈴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말기∼초기 철기시대에 제사장이나 지배자가 사용했던 무구(巫具). 이 시대의 제사장이나 지배자들은 자신의 정치·사회·종교적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손에 들거나 짚었던 지팡이나 막대끝에 방울 모양의 장식을 끼워 사용하였다. 간두령은 가늘고 긴 장대의 머리에

  • 간명교육학 / 簡明敎育學 [교육/교육]

    1908년 유옥겸(兪鈺兼)이 편역한 개화기의 교육학 교과서. 1책. 활자본. 국한문혼용체. 이풍호(李豐鎬)가 교열하였으며, 우문관(右文館)에서 발행하였다. 총 6편 3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을 총론·목적론·방법론·체제론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이 교과서는 교육학이

  • 간백산 / 間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과 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164m. 백두산에 이어지는 준봉의 하나로 마천령산맥에 속한다. 북쪽으로 대연지봉(大臙脂峰, 2,360m)·소연지봉(小臙脂峰, 2,123m) 등으로 이어지고, 남동쪽으로 소백산(2,174m)에

  • 간석기 / ─石器 [역사/선사시대사]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마제석기(磨製石器)’라고도 한다. 간석기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점성(粘性)이 강한 석재를 골라 격지[剝片] 또는 몸돌[石核]을 쓰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대략 정형(整形)한 뒤,

  • 간석지 / 干潟地 [지리/인문지리]

    하천에 의해서 하구에 운반된 점토와 모래 같은 미립물질이 해수의 운반작용으로 하구나 그 인접해안에 퇴적된 지형. 밀물 때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평평한 해안퇴적지형(海岸堆積地形). 육상생태계에 가까운 쪽의 염생식생이 정착되어 있는 곳을 염생습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