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초출자 / 初出字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로서,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ㅗ, ㅏ, ㅜ, ㅓ’를 일컫는 『훈민정음』 「제자해」의 용어.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중성 11자 가운데 먼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 기본자

  • 초토사 / 招討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란 중에 임시로 지방에 파견하는 특별 관원. 정3품 당상관 이상의 문·무관원 중에서 선임되었다. 주로 특정지역의 의병을 규합, 적을 토벌하게 하는 특수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파견되었다. 1592년(선조 25) 7월 임진왜란 중에 공조참의 고경명을 호남지방의

  • 초학요선 / 初學要選 [언어/언어/문자]

    1918년에 노명호(盧明鎬)가 간행한 학습서. 『초학요선』은 서(1면), 범례(1면), 조선언문(6면), 자모 철자종성부 밧침, 격음 된시옷, 중종성 둘받침(3면), 편가명(片假名, 50음), 평가명(平假名), 탁음(濁音), 반탁음(半濁音), 합음(合音, 3면), 본문

  • 초현실주의 / 超現實主義 [문학/현대문학]

    비합리적 인식과 잠재의식의 세계를 추구하고 표현의 혁신을 꾀한 전위적 문예사조. 대체로 일본을 매개로 하여 표현주의, 미래파, 입체파 등이 먼저 도입되고, 이어 다다이즘이, 그 다음에 초현실주의가 도입되어, 1930년 전후에는 일부이긴 하나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 촌담해이 / 村談解頤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 강희맹이 소화·외설담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소담집. 1책. 자서(自序)에 의하면 편자는 한거(閑居)하면서 촌 노인들(村翁)과 극담(劇談)을 나눈 것을 모아 수록했다 한다. 그는 소화가 비록 호색적인 음담패설의 성격을 많이 띠고 있지만 그 속에 인간의 본성

  • 촌락 / 村落 [사회/촌락]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생활의 단위로서, 인간생활의 기본단위인 가족 또는 집들이 모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루고 있는 지역집단. 마을·골〔谷〕·동리·부락·취락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촌락의 개념과 그것에 대한 연구의 관심은 여러 학문 분야에 따라 각기 다르다

  • 촌락신화 / 村落神話 [문학/구비문학]

    마을에서 섬기는 신의 내력에 관한 이야기. 많이 전승되고 있지 않지만 단편적인 것이 여기저기 전승되어 오고 있다. 주인공은 그 마을의 신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거의 전설처럼 되어가고 있다. 신을 섬기는 마을사람들로서는 신화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지방의 사람이 보면 전설

  • 촌은집 / 村隱集 [언론·출판]

    유희경(1545-1636), 목판본. 책의 구성은 3권 2책이다. 권수에는 김창협의 글씨를 판각한 <촌은집서>가 있다. 권1에는 오언절구 13수, 육언절구 4수, 칠언절구 131수, 오언율시 50수, 오언배율 5수, 칠언율시 37수, 오언고시 1수, 삼오칠언 5수, 권

  • 촌중사시가 / 村中四時歌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달충(李達衷)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각 14구. 『동문선』 권7에 실려 있고, 작자의 유고를 모은 『제정집(霽亭集)』에도 전한다. 원제목은 ‘김회옹남귀작촌중사시가이증(金晦翁南歸作村中四時歌以贈)’이다. 이 작품은 김회옹이 남으로 돌아갈 때에 지어준 시로,

  • 촛불집회 / 촛불集會 [사회/사회구조]

    일몰 후 주로 옥외에서 촛불을 들고 진행하는 집회. 촛불집회는 항의나 추모를 목적으로 하는 비폭력 평화시위의 주요방식이다. 특히 한국에서 촛불집회는 ‘촛불문화제’라는 독특한 형식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야간시위를 금지하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제약을 넘어서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