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오원 / 吳瑗 [종교·철학/유학]

    1700(숙종 26)∼1740(영조16). 조선 후기의 문신. 상 증손, 할아버지는 두인, 아버지는 진주, 어머니는 김창협의 딸이다. 태주에게 입양되었다. 이재의 처질로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8년(영조 4) 정시문과에 장원하여 문명이 높았다. 이후 이조좌랑,

  • 오원전 / 烏圓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본학(柳本學)이 지은 가전체소설. 『문암문고(問菴文藁)』 상책(上冊)에 실려 있다. 유본학은 득공(得恭)의 맏아들로 생몰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생년이 대략 1770년경으로 추정된다. 그는 「오원전」 외에도 「김풍헌전(金風憲傳)」·「김광택전(金光澤傳)」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중기에 근간을 이루었던 군사조직. 의흥위(義興衛)·용양위(龍驤衛)·호분위(虎賁衛)·충좌위(忠佐衛)·충무위(忠武衛)를 말한다. 이후 ≪경국대전≫에는 의흥위에 갑사와 보충대(補充隊), 용양위에 별시위와 대졸(隊卒), 호분위에 족친위(族親衛)·친군위(親軍衛)·팽배

  • 오위도총부 / 五衛都摠府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를 총괄하던 최고 군령기관. 관원으로는 도총관(정2품)과 부총관(종2품)이 모두 10인으로 타관이 겸임토록 되었다. 대개 종친·부마·삼공 등 고위 관리가 임명되었으며, 그 밑에 경력(종4품) 4인과 도사(종5품) 4인, 그리고 이속으로 서리 13인과 사령

  • 오유란전 / 烏有蘭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필사본. 관장(官長)과 선비의 호색과 위선을 풍자한 작품으로, 「배비장전」과 의취가 같은 소설이다. 한양에 동갑·동학(同學)인 김·이 두 선비가 있었다. 먼저 장원하여 기백(箕伯)이 된 김생을 이생이 동행한다. 이생을 위하여 선화당(宣

  • 오윤겸 / 吳允謙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옥정 증손, 할아버지는 경민, 아버지는 희문, 어머니는 이정수의 딸이다. 성혼의 문인이다. 159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영릉참봉, 종사관, 안주목사, 좌부승지, 첨지중추부사, 대사헌, 좌의

  • 오윤충 / 吳允忠 [종교·철학/유학]

    1573∼1629. 조선후기의 유학자. 아버지는 오세공, 어머니는 삭녕최씨이며, 영의정을 지낸 추탄 오윤겸의 종제이다. 음직으로 조정에 진출했는데, 광해군 조정에서 정인홍 등이 인목대비를 폐위하려는 것을 목도하고는 사직하고 죽산으로 귀향한 후 평생 시문으로 자오했다며

  • 오음잡설 / 梧陰雜說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직접 보고 들은 명신·명사 및 사우(師友)들의 일화를 모아 엮은 잡록. 작자가 직접 보고 들은 명신·명사 및 사우(師友)들의 일화(逸話)를 자유롭게 기술한 것이다. 이 작품은 윤두수의 장남 방(昉)이 1635년(인조 13)에 간행한 『오음유고』(

  • 오이소박이 [생활/식생활]

    오이에 소를 박아 담근 김치. ≪증보산림경제≫에 황과담저법(黃瓜淡菹法)이라 하여 고추와 마늘을 소로 쓰는 오이소박이가 문헌상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고, ≪임원경제지≫와 ≪시의전서 是議全書≫에는 파 ·마늘·고춧가루를 소로 사용하는 지금과 같은 오이소박이 만드는 법이 기록

  • 오이시 마사미 / 大石正已 [정치·법제/외교]

    1855-1935. 일본 정치인. 조선 주재 일본 공사. 1892년 11월에 그는 조선 주재 변리공사로 임명되었다. 조선공사 발탁은 1892년 총선 패배로 궁지에 몰린 제2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이 야당을 회유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1900년 입헌국민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