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연경서원 / 硏經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硏經洞)에 있었던 서원. 1564년(명종 19)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생사당(生祠堂)을 창건하였다. 이황이 죽은 뒤 1613년(광해군 5) 그의 위패를 모셨으며, 1660년(현종 1) ‘연경(硏經)’이라고

  • 연경좌담 / 演經坐談 [언어/언어/문자]

    1923년에 게일((James S. Gale))이 만든 노래복음서. 활판본. 게일이 서문을 마치고, 한국 기독교 문학에서 간행한 것으로, 가사만 남아 있는 찬송가집이다. ‘연경좌담(演經坐談)’이라는 서명의 의미는, ‘성경을 연기하듯이, 앉아서 이야기하듯이’ 모여서 함

  • 연고주의 / 緣故主義 [사회/사회구조]

    혈연(血緣), 지연(地緣), 학연(學緣)이라는 전통적 사회관계의 복합적인 그물망을 의미. 연고주의를 설명할 때, 연결주의와 연줄주의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둘 모두 영어로는 네트워크(network)이지만, 후자는 지연이나, 혈연, 학연처럼 특수주의적이고 폐쇄적인 관

  • 연곡 / 連谷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지산현(支山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명주의 속현으로 되었다. 1018년( 현종 9) 연곡현이라 고쳤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현이 폐지되고 강릉대도호부의 직촌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강릉군에 속하였다가 19

  • 연곡유집 / 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권성익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권정섭의 증조부인 소헌 권인하와 종숙부 질암 권경모가 편집한 뒤에, 권정섭의 아버지인 긍재가 몇 사람에게 교정을 청하여 2책으로 정리했고, 권정섭이 이를 석인으로 간행하였다.

  • 연광정 / 練光亭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최경창(崔慶昌)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대동강가의 명승지인 연광정에 올라 그곳의 뛰어난 조망과 감회를 읊은 시이다. 『고죽집(孤竹集)』과 『국조시산(國朝詩刪)』 권3 등에 실려 있는데, 『고죽집』에는 ‘연광정시이순입지(練光亭示而順立之)’라는 제목으로 되

  • 연구개음 / 軟口蓋音 [언어/언어/문자]

    연구개를 조음점(調音點)으로 하여 발음되는 자음. 조선시대에는 중국음운학(中國音韻學)에 따라 『훈민정음』 이후로 아음(牙音) 즉 ‘엄쏘리(어금닛소리)’라 하여 ‘ㄱ, ㄲ, ㅋ, ’을 아음으로 분류하였다. 『훈민정음』에서 “아음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취한다(

  • 연극학 / 演劇學 [예술·체육/연극]

    연극에 관련된 여러 요소·행위·현상을 학문적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우리 나라 연극에 관한 통사적 연구는 1939년에 발간된 김재철의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가 그 효시이다. 관련 학회로서는 한국연극학회 등이 있으며, 대학의 일부 어문학과(특히 국문학과) 및 연극학

  • 연기향교 / 燕岐鄕校 [교육/교육]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교촌3길에 있는 향교. 1416년(태종 1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865년(고종 2)에 명륜당을 중수하고, 1887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901년에 전사청(典祀廳), 193

  • 연낙재 / 硏駱齋 [예술·체육/무용]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국내 최초의 춤 전문 자료관. 최승희의 『나의 자서전』, 조택원의 자서진 『가사호접』, 우리나라 최초의 무용이론서인 박외선의 『무용개론』 등 일제강점기의 무용 공연 프로그램, 근대무용 선구자들의 육필 원고와 무용대본, 안무노트 등 희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