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연원제 / 淵源制 [종교·철학/천도교]

    동학과 천도교의 포교원리. 19세기 말 동학이 정부로부터 사학으로 몰려 탄압받던 시대에 비밀포교 방식으로 등장했다. 각 지역 포교담당자를 접주로 임명했다. 접주는 행정상 명칭이지만 도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연원이라고 불렀다. 1894년 갑오동학혁명시 남북접 대립, 천도교

  • 연인산도립공원 / 戀人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조종면, 북면에 자리한 연인산(戀人山, 1,068m)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사랑과 소망이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연인산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도립공원으로 아름다운 비경과 명소들이 많다. 2005년 10월 21일 경기도에서 2번째 도립공원으로

  • 연잉군(영조)봉군망단 / 延礽君(英祖)封君望單 [정치·법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1699년(숙종 25) 12월에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 숙종과 숙빈최씨 사이에 태어난 숙종의 서장자 금(昑)을 연잉군으로 봉군하는 망단이다. 기두의 '이조연잉군망(吏曹延礽君望)'은 문서 제목에 해당하며, '금을 봉군하는 것으로 전교하셨다'는

  • 연잉군준호구 / 延礽君准戶口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한성부에서 연잉군(延礽君)에게 1714년에 작성한 호구장적에 의거하여 발급한 준호구. 한성부인 3과와 주협무개인이 날인되어 있다. 당시 북부 의통방 연추문계 제7통 제5호에 거주하고 있던 연잉군의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 그리고 솔거노비

  • 연잉군호구단자 / 延礽君戶口單子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연잉군이 한성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당시 연잉군은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21세임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와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를 기록하였고, 하단에 따로 솔거노비를 기록한 부분에는 종이를 부착해서 수정한 부분이 있다.

  • 연자매노래 / 硏子─ [문학/구비문학]

    연자매로 곡식을 찧거나 빻거나 쓿을 때 부르는 제주도민요. 여러 사람의 힘으로 굴리거나, 마소를 몰며 연자매를 찧을 때 각기 다른 가락으로 불린다. 연자매는 전국에 흩어져 있었지만,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드물지만 이 노래 역시 제주도에서만 확인된다. ‘?방에’

  • 연장체 / 聯章體 [문학/고전시가]

    여러 개의 장(章)을 연결해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하는 우리 시가의 형식. 연장체는 각 분단(分段)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능을 하며, 독립적인 여러 개의 장을 통일된 주제 의식에 맞게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완성된 한 작품으로 구성하는 우리 시가의 형식적 요소이다.

  • 연재 / 鍊才 [정치·법제/국방]

    군사들에게 무예의 능숙을 권장하기 위하여 평소에 단련한 것을 시험. 연재는 내금위·별시위·친군위·갑사 등의 특수병종과 정병·수군의 기간병종에도 시행하는 것으로 그 성적에 따라 승진과 파출이 결정되었다. 당초 수시로 행하여지던 연재는 세종대에 이르러 정기적으로 하번시에

  • 연정가사 / 戀情歌辭 [문학/고전시가]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한국 시가의 한 양식. 조선조 가사 중에서 이성을 간절히 그리워하거나 사모하는 내용으로 2율각(律刻, dimeter)이 1구를 이루는 일련의 작품군을 가리킨다. 연정가사는 조선 전기부터 형성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이르러 왕성

  • 연정사 / 蓮亭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필사본. 모두 78구. 내용은 작자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국가의 휴척(休戚))을 세상에 맡겨두고, 강산풍월(江山風月)과 지당(池塘)의 연꽃을 벗삼아 강호에 한거하는 생활을 읊은 것이다. 특히, 창 앞에 연못을 만들고 거기에 연꽃을 심어 이를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