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여황 / 艅艎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 광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수천현(水川縣, 또는 水入伊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여황으로 고쳐 나주의 영현으로 하였다. 여황의 지명 유래는 수입과 같이 이 지역의 지형이 분지형이므로 ‘배의 모습’을 닮았다는 데에서 나왔다. 조선시대에 이 지역은

  • 여훈언해 / 女訓諺解 [언어/언어/문자]

    1532년(중종 27)에 최세진(崔世珍)이 『여훈』을 언해하여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최세진이 언해한 『여훈언해』의 중간본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책의 앞에 명나라 세종이 1530년에 쓴 『어제여훈서(御製女訓書)』가 있

  • 역 / 驛 [경제·산업/통신]

    공문의 전달, 공무 여행자에 대한 마필 제공과 숙식 알선을 위해 주요 도로상에 일정한 거리로 두어진 기구. 역에는 마필이 갖추어져 있었고, 역장·역리·역졸들을 두어 역정의 관리와 공역에 당하게 하였으며,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역을 하나의 도로 하여 찰방 또는 역승이

  • 역·도승취재 / 驛渡丞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역승·도승의 직임을 감당할 만한 자를 뽑기 위하여 간단히 실시되는 시험. 서리에 주어진 특전으로 당상아문의 서리는 종7품 거관 후에, 무당상아문의 서리는 종8품 거관(去官) 후에 응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역곡천 / 驛谷川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강군 평강면에서 발원하여 군을 지나 철원군과 경기도 연천군을 흘러 임진강(臨津江)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78.3㎞. 상류가 되는 철원군에서는 평탄한 대지상의 많은 분류를 모아 연천군과의 경계에 넓은 평야를 발달시키고 있다. 연천군 중면에 들어와 어적산리에서

  • 역과 / 譯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역관을 선발하는 잡과 시험. 한학·몽학·여진학·왜학 등의 4개 분야로 구분. 한학은 대명외교의 중요성 때문에 조선 초기부터 실시, 몽학은 1419년, 왜학은 1441년, 여진학은 1451년부터 실시되었다. 역과는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

  • 역관 / 譯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통역 등 역학에 관한 일을 담당했던 관직. 역관은 중국과의 사대, 왜·몽고·여진과의 교린 등 외교에서 주로 통역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역관은 조선왕조의 사대교린, 외교관계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였다. 역어의 임무가 국가의 중대사임을 자주 강조하였

  • 역근전 / 役根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군포를 공동으로 납부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던 마을 공유의 전답. 주민들이 각 마을단위로 부과된 군포를 납부하기 위하여 자구책으로 강구한 것이 군포계와 역근전 등이었다. 그 대가로 토지를 기증받거나 이사호·유망호의 전답을 마을 공유로 하거나 또는 동민들이 공동으

  • 역대가 / 歷代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장편가사. 형식은 3·4조가 우세한 편이며 분량은 고려대학교본은 4음보를 1행으로 계산하여 405행이 되고, 국립중앙도서관본은 이보다 약간 길어 서로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밖에도 권세기본, 장서각 도서본, 사재동본(史在東本)이 있어 같은 계통

  • 역대국왕왕비추존단자 / 歷代國王王妃追尊單子 [정치·법제]

    대한제국 말기에 조선의 역대 국왕 및 왕후 중 존호, 묘호, 시호 등을 추상하거나 지위를 추존하고 그에 따라 책보를 올린 내역을 기록해 둔 것으로 보이는 목록. 《순종실록》에 의하면 1908년(순종 1) 7월 30일에 진종, 헌종, 철종에게 추존 책보를 올렸다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