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 관학 / 官學 [교육/교육]

    국가에서 설립, 운영하는 학교의 총칭. 우리 나라가 제도상으로 신학제를 실시하여 관학을 세운 것은 1894년 갑오경장부터이다. 종래 학사(學事)를 관장하던 예조를 폐지하고 교육문제를 전담하기 위한 학무아문(學務衙門)을 두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과거제도를 폐지하였다.

  • 관향사 / 管餉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의 식량을 관리하던 관원. 1623년(인조 1) 군사의 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인조반정 후의 상황은 북으로는 오랑캐와 싸우는 명나라를 돕는 원병을 공급하여야 했고, 남으로는 임진왜란 이후 왜에 대한 경계를 위하여 군인들이 필요하였다.

  • 관현방 / 管絃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음악기관의 하나. 대악서와 함께 궁중음악을 관장했던 왕립기관이다. 대악서는 왕의 전용으로 설립되었던 음악기관이었으나, 관현방은 다른 목적의 궁중 연향이나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세운 음악기관이었다.

  • 광국공신 / 光國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에 종실의 계통을 바로잡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태조의 세계가 ≪대명회전≫에 이인임의 후손으로 잘못 기록되어 정정을 위해 여러 차례 사절을 파견, 종계의 개정에 성공. 이에 1590년(선조 23) 명나라사절 또는 주문(

  • 광군사 / 光軍司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광군을 통제하던 관서. 통수부로서 광군사는 947년(정종 2) 개경에 설치되었다. 광군사의 존재는 광군이 비록 각지의 호족 지휘 아래 농민으로 조직된 예비군이라 하더라도, 중앙정부의 전국적인 통제 아래 통일된 군사조직이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 광덕대부 / 光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1품 상계 의빈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설치하였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였다.

  • 광록대부 / 光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2품 상계의 문산계. 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던 문산계의 하나이다. 문종 때 제정되었다.

  • 광무 / 光武 [역사/근대사]

    1897년에 제정된 대한제국의 연호. 조선개국 506년 8월 17일부터 광무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순종이 즉위하는 1907년 8월까지 10년간 사용되었다. 국왕을 대군주에서 ‘황제’로 승격시키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쳐 대외적으로 완전자주독립을 다시 선언함으로

  • 광무개혁 / 光武改革 [역사/근대사]

    1896년부터 고종 및 대한제국 정부의 개명된 집권층이 주도한 근대적 개혁. 고종이 1897년 황제에 등극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이 개혁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고종황제의 연호인 ‘광무’를 따서 ‘광무개혁’이라고 부른다. 서재필 등 독립협회 세력이 주도한 아

  • 광무양전사업 / 光武量田事業 [역사/근대사]

    1898년부터 대한제국 정부가 전국의 토지를 대상으로 실시한 근대적 토지조사사업. 1898-1904년 추진된 광무양전사업은 근대적 토지제도와 지세제도를 수립하고자 전국적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사업의 실제 과정을 보면 양지아문이 주도한 양전사업과 지계아문의 양전, 관계

페이지 / 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