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북두칠성과 단명소년 / 北斗七星─短命少年 [문학/구비문학]

    얼마 살지 못할 팔자를 타고난 소년이 북두칠성에게 빌어서, 그 덕택으로 오래 살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며, ‘남두칠성과 단명소년’이라고도 한다. 중국 진(晉)나라 때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 권1에 관로(管輅)의 이야기로 실려 있으며,

  • 북새잡요 / 北塞雜謠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홍양호(洪良浩)가 지은 한시. 북쪽 변방의 풍물을 노래한 모두 62수의 시로, 『이계집(耳溪集)』 권1에 실려 있다. 제목에서 요(謠)라고 밝힌대로 시형(詩型)은 일정하지 않고, 4·5·6·7언이 섞여 있다. 지은이는 의주·홍주·경흥부사와 평안감사 등의 외

  • 북송연의 / 北宋演義 [문학/고전산문]

    중국소설 『북송지전(北宋志傳)』의 번역본. 『북송지전』은 전체 50회로 구성된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저자는 명(明)의 웅대목(熊大木, 1506∼1578)이다. 『북송연의』의 조선 전래 시기는 18세기 말에 편찬된 『오주연문전장산고』의 기록을 통하여 확인된다.『북송연

  • 북정가 / 北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260구이다. 형식은 주로 3·4조의 연속이며, 자수율(字數律)의 율격이 잘 다듬어진 수작이다. 한시문집(漢詩文集)인 『적의(適宜)』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일찍이 무부(武夫)가

  • 북찬가 / 北竄歌 [문학/고전시가]

    1755년(영조 31)이광명(李匡明)이 지은 유배가사. 형식은 비교적 잘 다듬어져 있는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전체 분량은 2율각 1구로 세어 282구이다. 『증참의공적소시가(贈參議公謫所詩歌)』에 실려 있다. 저자는 벼슬살이에 뜻이 없어 시골에 숨어 살

  • 북춤 / 북춤 [예술·체육/무용]

    북을 치면서 추는 춤. 북은 수렵할 때나 전투·제의(祭儀)에서 신악기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북춤의 유래는 북을 연주하며 춤을 추는 데서 찾아야 한다. 요즘에는 모내기를 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농악의 편성에서 북놀이춤을 추는가 하면, 불교의식에서도 법고춤이라 하여 북

  • 북행가 / 北行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유인목(柳寅睦)이 지은 기행가사.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본으로 5,6종이 전한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962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4·4조가 부주조를 이루고 있다. 그밖에 3·8조, 4·7조, 4·8조, 6·4조, 2·4조,

  • 분산회복사은가 / 墳山恢復謝恩歌 [문학/고전시가]

    1638년경에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가문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130여 행 내외이고, 서사(10행)·본사(100여행)·결사(20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계(淸溪) 강복중(1563∼1639)이 16세의 어린 시절부터 선산의 명당자리를 두고

  • 분양악부 / 汾陽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한유(韓愉)가 지은 영사악부(詠史樂府). 1912년에 간행된 그의 문집인 『우산집 愚山集』에 실려 있다. 31제 41수가 수록되어 있다. 필사본에는 ‘분양고사(汾陽故事)’로 되어 있다. 모두 33제 44수를 수록하였다. 문집 수록의 작품은 필사본을 교열하

  • 분원시 / 憤怨詩 [문학/한문학]

    신라 진성여왕 때의 은자(隱者) 왕거인(王巨仁)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한시. 칠언율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그 사연과 시가 전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당시(全唐詩)』에도 이 작품을 왕거인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삼국사기』의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공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