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봉래산가 / 蓬萊山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조 때 성삼문(成三問)이 지은 시조. 『청구영언』을 비롯한 여러 가집(歌集)에 실려 전한다.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반대하여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는데, 죽음에 임박하여서도 꺾이지 않는 자신의 꿋꿋한 절개를 노래한 것이다. ‘봉래산가’라는 제목은

  • 봉래일록 / 蓬萊日錄 [문학/한문학]

    1890년(고종 27) 경에 조병균(趙秉均)이 지은 금강산 기행록. 조병균의 금강산 유람기는 국문본 『금강록』으로도 전한다. 이 「봉래일록」은 국문본보다 더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내용도 상세하다. 또한 여행 중에 지은 한시 103수와 여행을 마치고 지은 부(賦)

  • 봉래청기 / 蓬萊淸奇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국문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766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고, 4·4조가 부주조를 이루며, 2·3조, 4·3조, 3·3조, 3·5조, 3·6조 등이 드물게 나타난다. 제1단인 기사(起詞)에서는 과

  • 봉사일본작 / 奉使日本作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정몽주(鄭夢周)가 지은 한시. 지은이는 1377년(우왕 3) 9월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이듬해 7월에 돌아왔는데, 이 작품은 이 기간에 지은 것이다. 현재 11수가 남아 있으며, 『포은선생집 圃隱先生集』 제1권에 실려 있다. 제1수는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 봉산곡 / 鳳山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채득기(蔡得沂)가 지은 가사. 필사본. 4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102구(전구 1구 포함.)이다. 음수율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2·3조, 4·3조, 2·4조 등도 드물게 나온다. 「봉산곡」은 장지(壯紙)에 귀글체로 쓰여졌고, 「천대별

  • 봉산학자전 / 鳳山學者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본문은 전하지 않고 그 제목만 『연암별집(燕巖別集)』「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들어 있다. 그러나 작자 스스로 작품 제작의 경위를 밝힌 자서(自序)가 있고, 또 그 끝에 작자의 아들인 종간(宗侃)의 기록이 들어 있어

  • 봉선화 / 鳳仙花 [예술·체육/연극]

    이해조의 소설로서 무대화된 작품.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이 작품은 1913년 5월 혁신단에 의해 무대에 올려져 대성황을 이루었다. 고부간의 음모와 시기, 질투로 인한 갈등을 언서고담식으로 그려 남을 해치고자 하면 도리어 나쁜 결과를 당하게 된다는 인과응보의 가정비극

  • 봉선화가 / 鳳仙花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형식은 4음 4보격 무한 연속체라는 가사의 율격을 대체로 충실히 지켰으되, 2음보를 추가하여 6음보로 늘어난 행이 몇 군데 보인다. 필사본인 『정일당잡지 貞一堂雜識』에 수록되어 있다. 진술 양식은 일인칭시점의 독백체 서술로서 주관적인 감흥을 서

  • 봉선화설화 / 鳳仙花說話 [문학/구비문학]

    봉선화 또는 봉숭아라 불리는 화초의 유래에 관한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민간에 전래되는 각 편 중에는 봉선화라는 꽃 이름이 봉선이라는 궁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과 봉선이라는 신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의 두 가지 종류가 있

  • 봉은가 / 奉恩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한글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54구이다. 음수율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3·3조가 한번 나온다. 내용은 효행(孝行)을 권장하는 것이다. 곧, 부모님의 은공에 보답하는 길은 성인의 도를 행하는 것이며, 또 형제간에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