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은세계 / 銀世界 [예술·체육/연극]

    1908년 간행된 국초 이인직의 정치색이 짙은 친일개화소설이며, 신소설로서는 가장 먼저 무대에 올려진 작품. 1908년 11월 15일 원각사에서 당대의 명창 이동백, 강용환 등에 의해 상연되었다. 이 공연을 신극의 출발점이라고 보는 설과 신극이 아니라 단순히 구극의 일

  • 은애전 / 銀愛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문집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작품을 만든 동기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모든 옥안(獄案)을 심리하다가 김은애와 신여척을 살리게 하고, 이덕무로 하여금 전을 짓게 하여 내각의 『일력(日曆)』

  • 은행나무 밑 / 은행나무 밑 [예술·체육/연극]

    1927년 <신민> 6월호에 발표된 이경손의 단막희곡으로 농촌과 토속 신앙을 배경으로 완고한 부모와 젊은 연인들 사이의 갈등을 그린 작품.

  • 은혜 모르는 인간 / 恩惠─人間 [문학/구비문학]

    생명을 구하여 준 사람에게 짐승은 보은하지만 인간은 배신한다는 내용의 설화. 문헌설화로는 발견되지 않고 구전설화로 전국에 걸쳐 널리 전승되고 있다. 각 편에 따라 보은하는 짐승이 호랑이·사슴·고양이 등으로 이야기되기도 하고 구출된 인물이 주인공의 양자로 있었거나 그의

  • 은혜 모르는 호랑이 / 恩惠─ [문학/구비문학]

    호랑이가 자기를 구해 준 은인을 잡아먹으려다가 다시 곤경에 빠지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함정에 빠진 호랑이를 구해주자 호랑이는 그 사람을 잡아먹으려 하였다. 그리하여 사람과 호랑이는 누구의 행위가 옳고 그른지 판단하려고 황소에게 물었다. 황소는 사람도 우리에게 일을

  • 을병연행록 / 乙丙燕行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홍대용이 쓴 사행일기. 국문필사본. 표제가 ‘담헌연록’으로 된 10권 10책이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연행록’이라 된 20권 20책이 장서각 도서에 있다. 숭실대학교본은 매권 말미에 필사날짜와 경위가 밝혀져 있다. 장서각본은 숭실대학교본을 저본으로

  • 을지문덕전 / 乙支文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활자본.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고전소설의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다. 을지문덕 개인의 일대기라기보다 수나라와의 싸움에 관련된 사실의 기록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구려의 우수성을 역설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민족사에 대한

  • 을해조행록 / 乙亥漕行錄 [문학/고전산문]

    1875년(고종 12)에 조희백(趙熙百)이 지은 조운일기(漕運日記). 1책(23장). 한문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갑술(甲戌, 1874년) 12월 17일 지은이가 함열현감 겸 성당창조세영운관(咸悅縣監兼聖堂倉漕稅領運官)에 제수되어 이듬해 1월 27일 임지에

  • 음양옥지환 / 陰陽玉指環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옥가락지를 매개로 하여 하늘이 정한 인연, 하늘이 정해 준 배필을 찾아 헤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영웅의 일생 구조를 지니고 있는 영웅소설이며 군담소설이고, 여걸소설 혹은 여장군소설에 속하기도 한다. 한편, 적강화소를 지니고

  • 의리적 구투 / 義理的 仇鬪 [예술·체육/영화]

    한국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는 최초의 작품. 1919년 10월 27일 개봉되었는데, 오늘날 이 날을 기념하여 '영화의 날'을 제정하였다. 이 영화는 연쇄활동사진극으로서 연극을 하다가 연극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부분을 활동사진으로 연쇄적으로 상영하였다. 따라서 완전한 영화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