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우상전 / 虞裳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영조 때에 역관인 우상(虞裳)이상조(李湘藻, 일명 李彦瑱 이언진)가 죽자 그의 행적과 남긴 시를 모아 엮은 열전체(列傳體)의 변체(變體)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그러나 끝부분이

  • 우식악 / 憂息樂 [문학/고전시가]

    신라 눌지왕이 지은 노래. 가사와 악곡은 전하지 않고, 제목과 창작 연대 및 경위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 악조(樂條)와 열전(列傳) 제5 박제상조(朴堤上條)에 전하며, 그 창작경위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눌지왕이 고구려와

  • 우적가 / 遇賊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원성왕 때 영재(永才)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에 ‘영재우적(永才遇賊)’이라는 제목 아래 이 노래와 아울러 연기설화가 실려 있다. 영재가 도적을 만나 그들의 명에 따라 지은 노래로 『삼국유사』에는 이 노래의 제목이 전해져 있지 않다. 「우적가」의

  • 우탁설화 / 禹倬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禹倬)에 관한 설화. 우탁은 유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민간신앙 행사인 음사(淫祀)를 타파하는 데 아주 강경한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관련 설화가 일찍부터 문헌에 올랐다. 『고려사』 열전에서는 우탁이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부임하였을 때 그 지방 사

  • 우투리설화 [문학/구비문학]

    아기장수인 우투리가 어머니 때문에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죽임을 당하였다는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하며, 경상남도 함양, 전라남도 구례, 전라북도 남원 등 지리산 부근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설화에 나타나는 날개는 새 시대를 열

  • 우활가 / 迂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지은이가 자신의 초탈한 생활상을 소재로 자연을 벗삼아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구성은 전 92구에 7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의 구성내용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 우후요 / 雨後謠 [문학/고전시가]

    1618년(광해군 1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30세 때인 1616년 당시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일파의 문란한 정치를 탄핵하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곳에서 지은

  • 우희국사가 / 憂喜國事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임진왜란·병자호란·인조반정 등 작자가 겪은 역사적 대사건들을 시대순으로 읊은 장편 한역가사이다. 본래 한글로 지은 것인데, 현재 한글본은 전하지 않으며 한역본만 『경주정씨세고』·『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이 가사는

  • 운명설화 / 運命說話 [문학/구비문학]

    인간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 운명설화는 운명을 인간의 노력으로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기정 사실화하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와, 인간의 노력에 의해 회피하거나 극복할 수 있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로 양분된다. 운명설화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이야기를 수용하고 동시에 극

  • 운산구곡지로가 / 雲山九曲指路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2음보 1구로 하여 모두 60구이며, 음수율은 3·4조가 우세하다. 내용은 백운산(白雲山)구곡(九曲)을 정상 신선경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노래한 것이다. 이 작품은 경상북도 봉화지방에서 수집된 필사본으로, 순한글로 되어 있어서 규방가사작품으로 보

페이지 / 218 go